우리에겐 비빌 언덕이 필요해 - 서로를 돌보며 존엄한 삶을 가꾸다
최정은 지음 / 오월의봄 / 2023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각 장마다 감탄하며, 밑줄 그으며, 몰입해서 읽었습니다.

그러면서 가끔씩 내가 읽는 책이 무슨 책이지? 다시 반문하게 되었어요.

윙이라는 사회복지원의 ‘시혜’의 역사를 보게 될 줄 알았는데,

탐구와 성찰, 실천의 역사를 보게 되었습니다.


복지를 시혜로 여기지 않고 ‘한 존재의 삶의 존엄을 어떻게 획득할 수 있을까’를 끊임없이 물어온 윙의 대표 최정은과 

그의 동료들이 함께 이루어온 특별한 성취를 보았습니다. 

최정은은 사회복지사업가가 아니라 탐구자이자 구도자, 수행자였습니다.


‘배우고 변해야 하는 사람이 오직 친구들(윙에 입소한 피해자 여성들)뿐인가라는 큰 질문’(78면)은 많은 것을 새롭게 바꾸었군요! 친구들의 ‘무기력하고’ ‘무거운 몸’을 바꾸기 위해 대표와 활동가, 친구들이 같은 장소, 같은 시간에 앉아서 공부하고, 십년 간 매 주 한 번씩 산행을 함께 하고, 같이 밥을 하고, 함께 창업을 하고, 셰어하우스를 꾸리는 그 모든 과정이 ‘함께’였습니다.


대단하다, 대단하다....계속 감탄하며 도대체 최정은의 열정은 어디서 나오는 것일까 묻게 되었어요. 계속 실험하고, 깨닫고, 공부하고, 탐색하고 반성하고, 다시 길을 가는 그 도전의 힘, 그 지속의 힘은 어디서 오는 걸까?


책을 다 읽고 나서 그 힘은 ‘일상의 힘’이었음을 알게 되었습니다. ‘자신을 위해 수도 없이 밥상을 차린 힘으로 누군가의 밥상을 차려주는’(113면) 힘, ‘자활은 자격증이나 취업여부로 증명되는 게 아니라 일상을 얼마나 잘 꾸릴 수 있는가가 자활의 기준’(120면)이라는 깨달음을 얻고 ‘일상을 지켜내기 위해 하루하루 싸워온’(120면) 그 힘, ‘일상의 위대한 혁명’(120면)에서 온 게 아닐까? 그러기에 그는 피해자 여성이 아닌, 한 인간을 만날 수 있었고, 자신과 그들의 삶을 평등한 여성의 삶으로 여길 수 있었던 게 아닐까.


그 일상의 힘을 알려준 것이 인문학 공부였다는 사실도 눈에 크게 띄었습니다. 인문학 공부가 왜 ‘아래에서부터’ 시작되어야하는지를 시사하는 일이기도 했습니다. 인류의 역사가 일상을 하찮게 여기는 방향으로 전개되어온 이래 그 역사를 반성하게 되는 힘은 역설적으로 다시 인문학에서 나오는 거라고요.


밥을 ‘가족 로망스 안에 가두지 않고 개별적이고 독립적인 존재에게 필요한 자주적 행위로 인정해야겠다.’(110면)며 친구들과 함께 밥을 해서 먹는 윙의 성취는 드문 성취고 소중한 성취입니다. 밥을 가족으로부터 개인으로, 그 개인들이 모인 공동체의 차원으로 승화시킨 윙의 성취를 사회의 다양한 단체나 시설들에서 함께 이루어가면 세상이 얼마나 달라질까 생각했습니다.


최정은은 ‘비덕’이라고, 스스로를 비빌 언덕으로 비유했지만 책을 읽고 나니 큰 산을 본 느낌입니다. 그저 바라보는 장대한 산이 아니라 숱한 나무와 풀과 꽃, 시냇물과 동물들을 품고 있는 다정한 산, 그 품에 누구든 안길 수 있는, 제가 좋아하는 지리산을 본 느낌이었어요.


책 자체도 아름답습니다. 표지는 다정하면서도 상상력을 자극합니다. 신화적인 느낌도 들고요. 구성도 참 좋아요. 여성과 집, 여성과 공부, 여성과 일, 여성과 우정. 각 장마다 빛나는 경험들이 차곡하게 쌓여있습니다. 글 솜씨도 돋보입니다. 얼마나 많은 경험들이 쌓이고 쌓여있을까? 그것을 수없이 가지치기하고 간결하고 힘 있게 썼습니다.


최정은과 그의 동료들, 친구들이 이루어낸 이 따뜻하고도 대단한 성취를 우리 모두 나누어 가지고 싶어집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