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린 모두 똥을 먹어요 - 진화의 비밀이 숨어 있는 웃기고 알찬 똥 이야기
박재용 지음, 오승만 그림 / 해나무 / 2019년 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우린 모두 똥을 먹어요?! 제목만 들었을 땐 사실 약간 더럽다는 느낌이 들기도 했다.
근데 책을 읽고 나선 그런 생각이 전혀 들지 않았다
특히 어미 앵무새가 알을 낳기 위한 필요한 영양분을 얻고자 육식동물의 똥을 먹는다는 것을 알았을 땐 똥을 먹는다는 것이 숭고하다는 생각마저 들었다.
예상은 했건만 육식동물의 똥은 초식동물의 그것보다 고약한 냄새가 난다고 하니 어미 앵무새의 모정에 실로 감탄했다.

이와 정반대로 식란증이라는 건 처음 들어 봤는데 스트레스를 받거나 영양이 부족한 앵무새가 자신이 낳은 알을 먹는 일이 있다는 것이다.ㅜㅜ
이유는 있지만 약간 충격적이다.

새끼 코알라는 주먹이인 유칼립투스 나뭇잎을 분해하기 위한 세균을 가지고 있지 않기 때문에 이유식처럼 어미 똥을 먹는단다.
또끼는 풀을 잘 소화시키지 못해 똥에 영양분이 섞여 나오기 때문에 끈적하고 묽은 똥은 바로 먹어치운다고 한다.

그 동안 소는 철푸덕 똥을 싸고 염소는 구슬같이 작은 똥을 싼다고 막연히 알고만 있었지 그 이유는 몰랐다.
염소 똥이 작고 동글하고 단단한 이유는 물을 마시기 위해 찾아가는 샘 근처에 염소를 잡아 먹으려고 맹수들이  지키고 있기 때문에 나뭇잎이나 풀에 있는 수분을 거의 흡수해서 수분이 적은 똥을 놓기 때문이란다.
소는 덩치도 크고 다른 친구들과 무리를 지어 다니면서 안심하고 물을 마시기 때문에 똥에 수분이 많다는 것이다.

쇠똥구리가 똥을 굴린다는 것은 알고 있었지만 방향을 알기 위해 태양을 등지고 먹이를 찾고 집에 갈땐 태양을 향해 간다는 것과 밤엔 은하수를 보며 찾아간다는 것은 정말 새롭게 안 사실!! 

그동안 수박 겉핥기식으로 알 던 정보들이 살을 더해서 머릿속에 채워지는 느낌이랄까
보면 볼수록 유익한 책이다~

작가님은 과학분야에 엄청난 내공을 지니고 계신 분이란 생각이 들었다
잠깐 돌아가서 작가 소개란을 보니 아니나다를까 역시나 강연도 진행하시고 ebs 다큐프라임 '생명, 40억 년의 비밀' 시리즈도 집필한 적이 있으신 엄청난 내공의 소유자였다.

이 책 외에 앞으로 쓰실 다른 책들도 기대가 된다.
다만 6살 난 우리 아이가 읽기엔 다소 어려운 책이라 읽고 난 뒤 몇가지 흥미로워할 사실 몇가지만 전달해 주었다. 초등학교에 들어가면 재미나게 읽을만 책인 것 같다.

#도치맘 #도치까페 #똥이야기 #초등전문도서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