열두 달 학급경영과 교사의 마음 돌보기 - 온라인에도 오프라인에도 번아웃 없는 슬기로운 교사생활을 위한 40주 학급운영법 (블렌디드 학급운영 팁 포함)
이진영 지음, 정원상 그림 / 테크빌교육 / 2021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학창 시절 우리의 달력은 3월부터 시작한다. 3월 2일 입학식이나 시업식으로..

하지만 교사가 되고 부터는 그보다 조금 더 앞선 2월부터 시작이다. 새 학년 새 업무의 시작은 2월부터 현직 교사이기에 공감할 수있는 우리만의 달력, 최근에는 조금 더 빨라지기는 했지만 늦어도 2월에 희망 학년과 업무를 신청하는 것으로 새 학년에 대한 고민과 구상을 한다. 이 시기는 왜 이리 경력이 쌓여 갈수록 편안해지기는 커녕 두려워지는 건지, 일반 직장이라면 어느 정도 경력이 쌓이면 내 일에 대한 전문가적 지식과 경험으로 걱정이 별로 없을 것 같지만 교사라는 직업은 매년 새로운 학년에 새로운 아이들과 학부모님, 해마다 바뀔 수 있는 업무는 도무지 익숙해지지 않고 더욱 더 부담스러운 건 나만이 아닐 것이다.

이 책은 2월부터 다음 해 1월의 겨울 방학과 함께 헤어지기 까지의 과정을 월 별로 챙겨야 하고 중점적으로 지도해야 할 부분들을 설명해준다. 경력이 좀 쌓이면 어떤 행사는 몇 월! 바로 나오겠지만 교직 경력이 적은, 특히 신규 선생님들에게는 지금 지나고 있는 과정에서 해야 할 일, 그리고 앞으로 다가 올 시기에 내가 신경 써야 할 일들을 직접 경험하지 않고 미리 간접 경험을 해볼 수 있도록 도와준다.

담임의 꽃이라 불리는 가장 바쁘고 힘든 3월은 이미 지나갔다. 첫 만남을 통해 서로를 알아가고 아이들을 파악하고 학부모님들과의 상담으로 한 학기의 반이 지나간 것 같은 3월에 이어 4월은 조금 안정이 되어가는 시기이다. 코로나 19로 인해 정상등교가 힘든 학년과 매일 등교하는 1,2학년 나름의 힘든 과정을 함께 보내고 있는 지금은 정상 교육과정이 이루어지지 않아 안쓰럽긴 매한가지이다.

5월의 가정의 달을 맞이하여 어린이날, 어버이날을 오프라인, 온라인 함께 활용할 수 있는 꿀 팁은 다가오는 5월의 행사를 걱정하는 선생님에게 큰 도움이 될 것 같다. 학생지도 뿐 아니라 교사 자신을 돌아볼 수 있는 꿀 팁 또한 일 년 동안 쌓여 있던 스트레스로부터 벗어날 수 있는데 도움이 된다.

하루 하루는 힘들지만 일주일, 그리고 한 달이 지나면서 변화되는 아이들의 모습을 보면 보람도 느끼고 만족감도 느끼게 된다. 그 맛에 교사를 계속하고 있는 것 같다. 열 두 달 열심히 나의 마음을 잘 돌보며 또 올 해의 마지막 1월에는 웃으며 쿨하게 헤어지고 싶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