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지력혁명 - 평범한 사람도 비범한 성취를 가능케 하는
문용린 지음 / 비즈니스북스 / 2009년 9월
평점 :
절판
"지력혁명" 은 지능이라는 게 단순히 IQ 나 EQ 라는 지수 하나로만 측정되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지능지수가 있다고 주장한다. 기억력, 논리력 등만을 평가하는 IQ 라는 지능지수는 사람이 가지고 있는 많은 지수중 하나일 뿐이라고 한다. 그리고 이 책에서는 8가지 지능지수를 다중지능이라는 이름으로 분류해서 설명하고 있다.
1) 언어지능
2) 논리수학지능
3) 음악지능
4) 공간지능
5) 신체운동지능
6) 인간친화지능
7) 자기성찰지능
8) 자연친화지능
사람들은 모두 이 8가지 지능을 가지고 있고, 그 중에 어떤 지능이 더 특출날 뿐이라는 이야기를 한다. 그래서 사람들의 다양성을 인정해 주어야 하며, 공교육은 획일적인 교육에서 벗어나 그런 다양성에 알맞는 교육체계를 확립해야 한다고 주장한다. 또한 회사에서도 사람들을 점수나 면접으로 평가할 것이 아니라 각자의 개성과 능력을 판단하고 그에 맞는 교육과 분야에 취업시켜야 한다고 주장한다. (이 부분은 완전 동감한다. 아니 왜? 초등학교, 중학교, 고등학교, 사교육,학원, 대학교 까지 엄청난 돈을 투입해서 공부를 했는데 회사는 또 그 이상의 더 높은 기준을 원하느냔 말이다!? 완벽한 사원을 원하지말고, 부족한 부분은 자기들이 교육해줘야 하지 않겠느냔 말이다!)
우리나라는 다양성을 인정하고 영재교육을 시작했는데, 한 지능에 특화된 교육으로 엘리트 영재를 키운다는 말에서... 또 왜곡된 교육을 한다는 점도 꼬집는다. 다양성을 인정한 다는 것은 자신의 주요지능을 발전시키면서 나머지 7가지 지능도 조화롭게 교육을 시켜야 하는데, 우리나라는 다양성 중에 한가지 특출난 지능을 파악하면 그 지능만 죽어라 키워서 오직 운동만 아는 스포츠선수나 오직 미술만 아는 화가를 키운다는 것이다.
검사 결과 나는 언어지능과 인간친화지능, 자기성찰지능이 뛰어났다. 글을 쓰고, 말을 하기 좋아하고, 사람을 만나는 것을 즐기고, 자기반성을 하는 등의 식이다. 자기자신에 대해 다시금 생각 할 수 있다는 점에서 좋았다.
"성공한 보통 사람은 천재가 아니다. 그는 단지 평범한 자질을 가지고 있을 뿐이지만, 그 평범한 자질을 비범하게 발전시킨 사람이다." - 루즈벨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