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전거를 못 타는 아이 - 라울 따뷔랭
장 자끄 상뻬 지음, 최영선 옮김 / 열린책들 / 2002년 11월
평점 :
절판


장자끄 상뻬의 자전거를 못타는 아이를 읽었다. 글과 그림으로 차분하게 이야기를 들려주는 듯한 장자끄 상뻬의 그림책. 자전거를 못타는 아이에서 나오는 동네는 어떤 분야의 기술에서 최고인 사람의 이름으로 그 기술을 불러준다. 가령 자전거를 가장 잘고치는 따뷔랭의 이름을 따서 자전거를 부를때 "따뷔랭" 이라고 부른다. 무엇인가에 미쳐있는 사람의 이름을 미쳐있는 사물에 붙여준다는 것에서 인상이 깊었다. 마치 별의 이름은 별을 처음 발견한 사람의 이름을 붙여주듯이... 이 세상 어떤 것에 내 이름이 붙는 다면 어떤 기분이 들까? 
 




자전거를
잘 고치는 따뷔랭은 사실 자전거를 잘 못탄다. 아니 아예 못탄다. 그래서 항상 고민이다. "나는 왜 자전거를 못타지?"  그 고민을 털어놓기 위해서 여자를 만나지만, 여자는 자신에게 고백하는 줄 착각을 했다가 고백을 안하자 화를 내면서 나간다. 여자는 남자의 진지한 고백을 이해하지 못한다.







이런저런 우여곡절 끝에 마지막 엔딩씬이다. 최고의 사진작가라고 불리는 친구와 재회하는 따뷔랭. 이제 서로의 비밀을 알아버린 후, 그들은 어떤 이야기를 나눌까?


콤플렉스에 대한 생각을 하게되는 책이다. 남들에게 말 못하는 나만의 콤플렉스는 무엇일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