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사장으로 산다는 것 - 사장이 차마 말하지 못한
서광원 지음 / 흐름출판 / 2005년 12월
평점 :
구판절판
항해자 형이 추천해주었던 책 "사장으로 산다는 것"을 드디어 읽었다. 어렵지도 않으면서도 진솔한 이야기가 담긴 책이였다. 처음에는 경영관련 서적 혹은 직장학? 이런 류의 책일 것이라 생각했었다. 그런데 책 카테고리가 에세이인 것처럼 사장을 경험했던 저자의 마음 속 이야기를 듣는 것 같은 느낌이 들었다.
사업가는 신뢰를 먹고산다. 직원들로부터 들은 "감사하다" 는 말 하나로 1년을 든든하게 살 수 있는게 CEO 이다. 반면 직원들이 사표를 들고 오면 꼭 실연당한 기분이 든다.
사장을 하면서 저자가 겪었던 일들, 마음들, 아직 사장이 되어 본 적은 없지만 리더의 위치에 서봤던 나에게는 참 공감이 많이 되는 책이다. 저자는 사업이 잘되서 통장의 잔고가 가득찰 때가 행복하다고 말하지 않는다. 직원의 말 한마디에 1년이 든든했다고 한다. 그리고 직원들의 사표에 가장 아프다는 실연의 고통을 느꼈다고 한다. 사장이란, 리더란 참으로 연약한 존재이다. 책에서도 여러번 사장들도 다 똑같은 사람이라는 것을 강조한다. 그리고 사장이 얼마나 고독한 존재인지도...
실행이 전부다. -카를로스 곤 (닛산자동차)
많은 부하직원들이 보기에 사장은 항상 앉아있는 것 같고, 쉽게 돈을 버는구나 싶을 것이다. 하지만 가장 많은 일을 하고 가장 실행력이 강한 사람은 바로 사장이다. 그렇기 때문에 사장의 자리에 까지 올라갈 수 있었던 것이다.
사실 가장 큰 적은 안에 있다. 자기 자신에 대한 회의가 그것이다.
확신을 가져라, 아니 확신에 차 있는 것처럼 행동하라.
그러면 차츰 진짜 확신이 생기게 된다. - 빈센트 반 고흐
여러 명사들의 강연을 들어보면서 자기 자신에 대한 믿음 "자신감" 이 얼마나 중요한 성공과 행복의 요인인지 깨달았다. "할수있다" 라는 생각하나로 우리는 기적을 이루어낸다.
리더란 냉혹함과 인자함, 이 모순된 양극을 함께 지니고 있어야 한다. - 이나모리 가즈오
리더의 자리가 힘든 것은 바로 위의 모순된 양극을 함께 지녀야 한다는 것이다. 마치 내 자식처럼 부하를 사랑해야 하지만 또 부하직원이 잘못했을 때는 혹독하게 혼낼줄 알아야 한다. 어쩌면 부모의 마음과 같은 지도 모르겠다. 그저 인자하게만 해서는 안되는 법이다.
전쟁에서 마음씨 좋고 이기지 못하는 장수는 모든 병력을 죽음에 이르게 한다.
병사들을 모두 살아남게 하는 장수가 유능한 장수다.
위의 리더이야기와 일맥상통하는 이야기이다. 리더가 착하기만 해서는 전쟁에서 승리할 수 없다. 사실 부하들도 자기들에게 잘해주기만 하는 장수를 무조건적으로 따르지만은 않는다. 놀때는 좋아하면서도 속으로는 다른 생각을 한다. 정작 어려운 일이 생겼을 때는 명령을 듣지 않는다. (이 것은 정말 내 경험 속에 녹아나오는 이야기이다.) 그렇다면 어떻게 해야하는 것일까? 많이 들어봤을 "원리원칙" 과 "신상필벌" 이 바로 그것이다. 즐겁게 놀때는 함께 놀되 일을 해야할 때는 "원리원칙"을 지킬 것이며 잘못 했을 때는 정에 연연하지 않으면서 확실히 벌을 내려야 한다. 그럴때 부하도 자신의 리더를 따르게 된다.
이룩할 수 없는 꿈을 꾸고,
이루어질 수 없는 사랑을 하고,
싸워 이길 수 없는 적과 싸움을 하고,
견딜 수 없는 고통을 견디며,
잡을 수 없는 저 하늘의 별을 잡자.
고독하면서도 사장으로 살아가는 이유는 바로 위의 글이 아닐까? 싶다. 사장들은 잡을 수 없는 저 하늘의 별을 잡기 위해 고군분투하는지도 모르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