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과 일본은 꼭 이웃나라라서가 아니라 미국에 예속된 나라라는점에서 운명공동체입니다. 한국은 북한이라는 또 하나의 변수가 있지만 한국도 일본도 독립국으로서 외국군대의 무기한 주둔이 부담스럽다면 먼저 외국군대 주둔이 필요 없는 상황을 만들어가야 합니다. 그러자면 두 나라부터라도 서로를 두렵게 만들지 않으려고 노력해야 합니다. 일본에서 자연재해가 일어났다고 박수를 치는 것은 주한미군의항구적 주둔으로 귀결됩니다. 주한미군의 주둔은 고가의 미국 무기 구매로 이어지고 박수를 친 젊은이의 앞날은 더욱 암울해집니다.

유일무이한 역사적 수난나치 손에 죽은 유대인 숫자가 상상을 초월하게 많고 나치가 유대인을 죽인 방식이 극악무도해야 유대인의 비극성이 증폭되면서 유대인이 도덕적 특권을 누릴 수 있어서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그때 놈이 말하기도 전에 난 그게 무엇인지를 알았어.
그 고양이를 가진 할멈이 시내 병원에서 더 나은 세상으로가버린 것이야. 아마 좀 너무 세게 팼나 봐. 그래, 그게 끝이었지. 우유를 달라고 야옹거리지만 아무것도 얻어먹지못하는 고양이들을 생각했지. 적어도 그 흉물스러운 주인으로부터는 말이야. 그게 끝이었어. 난 일을 저지른 거야.
아직 열다섯 살밖에 되지 않았는데,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그러니 뭔가 해야겠다는 생각이 들면 즉시 행동에 옮겨야 한단다.
그게 친구에게 메일을 쓰는 것이건, 안부 문자를 보내는 것이건, 산책이건, 영어 공부건, 운전을 배우는 것이건 일단 해야겠다‘란 생각이 들었을 때 곧바로 몸으로 지시를 내려 행동해야 하는 거야.
시간은 누구에게나 공평하게 흘러간다. 그 시간을 넋 놓고서 혹은여러 가지 고민과 생각으로만 채운다면 나중에 후회하게 되지. 무엇을하건, 어떤 행동을 하건 똑같이 흘러가는 시간에 이왕이면 내가 좋아하는 것, 혹은 인생에 진정으로 도움이 되는 일을 해야 하는 거야.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쇼펜하우어 인생론
아르투르 쇼펜하우어 지음, 박현석 옮김 / 나래북.예림북 / 2010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교제에 있어서의 우월함은 무엇보다도 타인을 필요로 하지 않는다는 점, 그것도 그것을아무렇지도 않게 나타낸다고 하는 점에서 생겨난다.

48. "세계를 지배하는 요소가 세 가지 있다. 그것은 바로 분별과힘과 운이다." 라는 적절한 옛말이 있다. 나는 가장 마지막에 든 운이 가장 큰 역할을 하는 것이라고 생각한다. 우리의 생애는 항해하는 배에 비유할 수가 있다. 행운이냐 불운이냐 하는 것은 우리를급속하게 훨씬 더 앞으로 밀거나 뒤로 미는 것이기 때문에 바람의역할을 하는 것이다. 이에 비해 우리 자신의 억척스러운 노력은 거의 아무런 영향도 미치지 못한다. 우리의 노력은 결국 노의 역할을하는 것이다. 몇 시간의 노력을 통해서 노가 우리를 얼마간 앞으로밀고 나가면 한 줄기 돌풍이 다시 그만큼 뒤도 되돌려놓는다. 그런데 이것이 순풍이라면 노 같은 것은 필요하지도 않을 정도로 앞으로 밀려 나갈 것이다. 운의 이러한 힘을 스페인의 속담은 아주 절묘하게 표현하고 있다. "네 자식에게 운을 물려주고 바다 속으로던져라."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섀넌이 정보량을 정의하는 관점은 이렇다. 잦은 것은 정보량이 적고 드문 것은 정보량이 많다. 자주 쓰는 건 예측하기 쉽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습니‘가 읽혔다. 그러면 다음 글자는 ‘다‘가 되기 쉽다. 흔히 그렇게 쓰므로, 그래서 다음 글자가 ‘다인 메시지는 정보가 적은 거다. 그런데 다음글자가 꺼인 메시지는 정보가 많은 거다. 예측하기 힘든 드문 경우이기때문이다.
‘ 자주 보이고 드물게 보이는 차이. 이 차이가 없으면 예측이 어렵다. 그래서 차이 없이 모든 글자가 골고루 사용되는 세계에서 온 메시지는 정
‘보가 많다. 반면에 그 차이가 있는 세계에서 온 메시지는 정보가 적다.
자주 보이는 글자들은 흔히 나타날 것이므로 보지 않고도 맞추기 쉬기때문이다.

이 정리를 곱씹어 보자. 아무리 잡음이 많은 채널이라도 초당 전달하는정보량이 채널 용량을 넘지만 않는다면(H < C) 온전하게 전달할 방법이있다고 했다. 따라서, 초당 정보량이 채널 용량을 초과한다면(H>C) 메시지의 정보량을 줄여주면 온전하게 전달할 수 있다. 그럼 정보량을 어떻게줄이나? 정보량을 줄이는 방법은 메시지에 있는 심벌들을 반복하거나 잡음으로 상처 날 메시지를 원상복구시키는 방법을 추가하면 된다. 이런 부가적인(정보량을 줄이는) 방법들을 메시지에 추가하다 보면 단위시간당 전달할 수 있는 정보량은 줄어들 게고 언젠가는 H<C가 돼서 그런 메시지는 온전히 전달할 수 있게 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