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타나게 된다. 상점의 입구를 지나게 될 때 보행자는 가게에 들어가거나 혹은 계속해서 길을 걷거나 둘 중 하나를 선택하게 된다. 이러한 의사 결정의 순간이 한 번 나올 경우 보행자는 가게에 들어갈 경우와 들어가지 않을 경우의 두 가지 경우가 생겨나게 됨으로 이벤트 경우의 수는두 번이 된다. 만약에 출입구가 두 개 나와서 결과적으로 선택의 경우 가 두 번 나오게 되면, 둘 다 안 들어가고 지나치는 경우, 앞의 가게만 들 어가는 경우, 뒤의 가게만 들어가는 경우, 두 가게 모두 들어가는 경우,
총 네 번의 이벤트 경우의 수가 발생한다. 따라서 상점의 수가 n‘이라 면 보행자가 겪을 수 있는 이벤트 경우의 수는 ‘2n‘이 된다. 다양한 경우 가 있다는 말은 보행자가 다른 날 다시 같은 거리를 걷더라도 다른 거리 를 체험할 수 있는 가능성이 많다는 점을 뜻함과 동시에 하루를 걷더라도 다양한 이벤트를 만날 경우의 수가 많아진다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 서 단위거리당 출입구의 수는 거리 체험과 밀접한 관련을 가질 수 있다.
이처럼 단위거리당 출입구 숫자가 많아서 선택의 경우의 수가 많은 경 우를 ‘이벤트 밀도가 높다‘라고 표현해 보자.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