별자리들 - 우리의 시간에 동행하는 별빛이 있다 들시리즈 3
이주원 지음 / 꿈꾸는인생 / 2021년 8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천문학을 전공한 저자의 인생과 천문학에 대한 에세이다. 21세기 미국의 주력 사업이 인공지능과 우주라고 한다. 그럼 천문학과 가면 좋지 않을까 라는 생각으로 읽게 되었다. 책에는 어디서 들어본적 있는 여러 과학사실들에 대한 설명이 저자의 삶과 어루러져 있다. 천문학과에 가면 하는 공부와 진로에 대해서도 잘 설명해주고 있다. 천문학을 전공하고 싶은 학생들과 천문학에 관심있는 사람에게 추천 하고 싶은 책이다.

어렸을땐 밤이되면 밤하늘에 별이 보였었는데 요새는 거의 안보인다. 도시에서 만들어진 빛 때문에 밤하늘이 밝게 보이는 현상 '빛공해' 때문에 잘 안보이는것.

하늘에 떠있는 인공위성 과 별자리

태양과 달 다음으로 가장 밝게 보이는 천체, 금성은 해가 뜨기 전이나 해가 지고 나서 잠깐 볼수 있다.

유성우는 하늘에서 별똥별이 비처럼 쏟아지는 것. 유성우에 별자리 이름이 붙는것은 별자리가 있는 방향에서 주로 유성우가 떨어지기 때문이다.

세페이드 변광성 Cepheid variable - 별빛의 밝기가 변하는 별

별의 밝기가 변하는 이유는

1. 별을 가리는 무언가가 있다 - 다른 별 B가 A앞을 지나가다 A를 가린다

A의 밝기가 한 번만 변하는 게 아니라 깜빡깜빡하며 밝아지고 어두워지기를 일정하게 반복한다

B가 A 주위를 돌고 있어서 주기적으로 A의 앞을 가리는 것을 '식 현상' 이라고 한다.

식 현상으로 인해 밝기가 변하는 변광성을 '식 변광성' 이라고 한다

2. 별에 심상치 않은 일이 벌어졌기 때문이다.

'새로 태어난 별' 이라고 해서 '신성' 또는 '초신성'

별들이 갑자기 밝아진 것은 새로 태어났기 때문이 아니라 죽음에 이르렀기 때문이다.

별이 죽음에 다다르면 거대한 폭발을 일으키는데 이것을 '초신성 폭발' 이라고 한다.

초신성은 폭발 현상으로 밝기가 변하는 '폭발 변광성' 중 대표적인 케이스

3. 별의 크기의 변화

별의 내부사정이 불안정해지면 별은 주기적으로 커지고 작아진다.

심장처럼 수축하고 팽창한다고 해서 이런 변광성을 '맥동 변광성' 이라고 한다.

세페이드 변광성도 맥동 변광성이다

세페이드 변광성의 밝기와 깜빡거리는 주기 사이에 관계가 있다.

깜빡거리는 주기가 길수록 더 밝고 , 주기가 같은 세페이드 변광성들은 밝기도 같다. 어두운 별이 훨씬 더 멀리 있다

세페이드 변광성을 통해 멀리 있는 것들의 거리를 가늠할 수 있게 되었다

에드윈 허블은 세페이드 변광성으로 우리 은하의 바깥에도 새로운 은하가 있다는 것을 밝혀내었다

쉽게 설명할 수 없다면, 그것을 제대로 이해한 것이 아니다.

아인슈터인

내가 제대로 이해하지 못하면 제대로 전달할 수 없다. 설명할수 있을때까지 공부해야 진짜 공부.

천문학과에 가면 배우는 과목?

미분적분학 , 선형대수학, 미분방정식이 필수 전공, 수리물리학 , 양자역학 전자기학, 역학, 열역학, 현대물리학, 일반물리학, 일반 화학 등을 배우고 교과서가 원서이기 때문에 영어는 수준급이어야 한다.

천문학자란? 별에서 얻은 데이터와 그로 인해 새롭게 알게된 사실을 알리는 사람.

천문학자들은 별보다 모니터를 더 많이 본다. 망원경으로 관측한 데이터를 컴퓨터로 처리해서 원하는 정보만을 뽑아내야 하고, 실제로 보지 못하는 우주를 시뮬레이션으로 구현해야 하기 때문에 코딩 실력은 필수, 컴퓨터를 많이 사용해서 수준급 코딩 실력도 필요하다. 코딩은 엄청 중요한거구나.

영어를 잘해서 외국의 데이터 사이언스 관련 기업에 취업하면 좋을것 같다.

우주론--우주에서 발견되는 현상과 천체들을 종합해서 우주가 어떻게 탄생했고 진화했는지를 밝히는 학문

우리 은하가 우주의 전부가 아니라는 것을 밝힌 천문학자 에드윈 허블

지구 밖에서 우주를 관찰하는 허블 우주 망원경의 허블은 그의 이름에서 따왔다.

허블은 안드로메다 성운을 관찰하다가 세페이드 변광성을 발견했다.

허블-르메트르법칙- 멀리있는 은하일수록 우리 은하와 빠르게 멀어지고 있다. 우주가 정지한 것이 아니라 팽창하고 있다는 것

우주가 일정한 속도로 팽창하는 것이 아니라 점점 빠르게 팽창한다.

빅뱅이론 - 우주는 대폭발로 만들어졌다.

우주는 정말 크고 어렵다. 우주 시대를 맞아 천문학에 대한 궁금증을 풀수 있었다. 천문학 전공에도 영어는 중요하고 컴퓨터와 코딩은 이제 필수다. 세페이드 변광성에 대해서 궁금했었는데 자세히 설명해줘서 좋았다. 어려운 우주 과학 사실들을 잘 설명해줘서 읽기 편했다.





    "출판사로부터 도서협찬을 받아 주관적인 견해로 작성하였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