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실의 언어 - 사랑하는 사람을 잃은 심리치료사가 쓴 회복과 치유의 기록
사샤 베이츠 지음, 신소희 옮김 / 심심 / 2021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이 책은 저자가 남편을 갑자기 잃고 난후 '유족으로서의 나' 와 '심리치료사로서의 나' 를 오가는 이중구조의 1년 동안의 회고록이다. 하루 아침에 배우자를 잃고 느끼는 상실과 애도 비탄의 심리를 솔직하게 묘사하고 심리치료사로서 심리 이론들을 통해 그 감정을 분석한다. 여행 요가 명상 심리치료등 다양한 방식의 치유 활동을 시도 한다

대동맥 박리는 유명한 농구선수의 형이 대동맥 박리로 사망했다고 해서 알고있던 질환이었는데 대동맥이 파열되는 거라 바로 수술을 들어가야 한다고 한다. 저자의 남편은 발병후 이병원 저병원 검사하러 다니다 수술이 너무 늦어서 사망한것 같다. 영국에서는 의료 비용을 아끼려고 응급실을 통합 폐쇄하고 있다고 한다

인간은 실제로 이별에 따른 상심때문에 사망할수 있다고 한다. 배우자를 잃은 사람은 이후 석달동안 사망가능성이 41퍼센트 증가한다고 한다. 몸을 검사한결과 대동맥 염증이 심해졌고 심박 가변성이 낮아졌다고 한다. 배우자를 잃은 사람들은 우울증 지수 또한 20퍼센트 높아졌고 배우자 사후 한달내 심장마비나 뇌졸중을 일으킬 확율 역시 증가한다고 한다. 과중한 정서적 스트레스가 신경계에 영향을 미친다 . 몸과 마음이 통합시스템으로서 작용하며 몸은 말 그대로 우리의 정서 상태를 보여준다

저자가 자신의 심리를 분석하며 지금 어떤 단계인지 자세히 설명해주고 있는데 심리학 책은 처음이라 애도 5단계에 대해 찾아 보았다

엘리자베스 퀴블러 로스의 죽음에 임박한 사람들의 심리학적 반응 5단계

1단계 '부정'-- 진단 결과를 의심하고 믿지 못한다

2단계 '분노' --왜 하필 나에게 이런일이 찾아오나

3단계 '타협' -- 현실을 인정

4단계 '우울' --가망없는 현실을 깨닫는 단계

5단계 '수용' --자기 운명을 조용히 받아들이고 정리하는 단계

이것은 이별의 5단계 ,슬픔의 5단계 배우자를 잃은 상실의 애도 5단계로도 변용된다

워든의 애도 단계

1단계 상실의 현실 받아들이기

2단계 사별의 고통을 겪으며 애도 작업하기

3단계 고인을 잃은 환경에 적응하기

이 단계는 여러 단계가 뒤섞여서 동시에 나타날수도 있고 순서가 뒤바뀌어 올수도 있다

사람이 너무 슬프면 스스로를 방어하려고 한다고 한다

프로이트의 방어기제----------------------------------------------------------------------------

방어기제란 자아의 무의식적 영역에서 일어나는 심리기제로서 인간이 고통스러운 상황에 적응하려는 무의식적인 노력이며 욕구를 충족시킬 방법으로 활용하는 일종의 적응기술

1.부인: 고통스러운 사실이나 현실을 의식적으로 인정하지 않는것

2.억압: 고통스로운 기억등을 무의식 속으로 억눌러 버리는것

3.반동형성: 무의식적인 소망이나 충동과는 반대로 행동하는것

4.투사: 자신의 심리적 속성이 타인에게 있는것처럼 생각하고 행동하는 것

5.합리화: 현실에 더는 실망을 느끼지 않으려고 구실을 붙이는것 ,현실을 인지적으로 왜곡

repression

denial

projection

displacement

regression

sublimation

안나 프로이트의 방어기제의 종류

1 억압(repression) 받아들일수 없는 충동이나 생각을 봉쇄하는 것이며 잊어 버리는것

2. 거부( 부인,부정 denial)

3.투사(Projection) 자신의 실패를 타인의 탓으로 돌리는것

4.퇴행(regression) --"느끼는 사람"에게 많이 나타나는 방어기제

5.합리화(Rationalization) 그럴듯한 이유를 대는것

6.동일시(Identification) 청소년들이 유명 연예인들의 옷, 태도, 행동을 따라 하는것

7.치환( 전위, 전치,Displacement) 한강에서 뺨 맞고 종로에서 푼다

8.반동형성(reaction formation) 겉으로 나타나는 태도나 언행이 그 사람의 억압된, 용납될 수 없는 충동의 정반대인 경우

9.신체화 (somatization) 심리적인 갈등이 신체를 통해 병이나 증상 등의 형태로 전환 되어 나타나는 것

전환(Conversion) 심리적 갈등이 신체 감각 기관과 수의근 계통의 증상으로 표출되는 경우

10. 해리(Dissociation) 의식 세계에서 받아들이기 힘든 성격의 일부가 자아의 지배를 벗어나 하나의 독립된 기능을 수행하는 경우--이중인격자,몽유병, 잠꼬대, 건망증 등

보상(Compensation) 자신의 실제 혹은 상상의 결점과 열등감을 실제나 상상의 우월감으로 채우는것

취소(Undoing) 엄마가 때리고 미안해 한다

해리(Dissociation) 의식 세계에서 받아들이기 힘든 성격의 일부가 자아의 지배를 벗어나 하나의 독립된 기능을 수행하는 경우--이중인격자,몽유병, 잠꼬대, 건망증 등

격리(isolation)

자기에게로의 전향 turning against self

부정 denial

승화 sublimation--문제상황과 연관된 활동에 전력을 다하며 고통을 회피하려는 행동 방식

수동-공격성(passive aggression)

defense mechanisms

1. denial 거부, 부인 부정--알코올 ,폭식, 거식, 물건 쟁이기, 청소, 소비 , 도박

2. repression 억압

3. projection 투사

4. dispalcement 치환 전위 전치

5 .regression 퇴행 --아이가 손을 빠는 행위

6. sublimation 승화 satisfying an impulse with a substitute objecr. In a socially acceptable way.--공격적 욕구를 스포츠분야로 돌려 좋은 성적을 거둠 , 우울한 성향을 활용해 뛰어난 미술, 음악 , 문학 작품을 창작--현실 회피

7. rationalization 합리화

8. reaction formation 반동형성 겉으로 나타나는 태도나 언행이 그 사람의 억압된,용납될수 없는 충동의 정반대인 경우

9. identification with the aggressor 공격자와 동일시 현상-- 아동학대 당한 아동이 부모에게 가지는 감정

방어기제는 사람마다 나누는 방법이 여러가지다-----------------------------------------------------------------

소중한 사람을 잃는 일은 고통스러울 뿐만 아니라 정신적 외상을 남기며, 이는 절대 한순간에 끝나는 문제가 아니다.

저자는 남편 사별 1년후에도 완전히 극복하지는 못하였다. 유족상담도 일주일에 한번씩 10주동안 받았고 요가등 운동치료도 하고 있는것 같다.지금은 요가강사로도 활약한다고 한다.

마음과 몸은 연결되어 있어서 마음이 안좋으면 몸으로 나타난다고 한다.

유족상담이란 심리 프로그램이 있나보다. 아버지가 돌아가시고 어머니가 많이 힘들어 하셨는데 그때 유족 상담이 있는 걸 알았으면 상담 받고 좀더 빨리 안정을 찾았을것 같은데 아쉽다

심리치료사도 가족의 죽음은 힘들다. 이론을 아는것과 극복하는것은 완전히 다른 이야기.. 저자는 아버지의 죽음 ,남편의 어머니, 남편이 갑자기 사망해서 가까운 가족의 죽음이 더 크게 다가온것도 같다. 아이를 십년 기다렸으나 실패한것도 이유일것 같다.

특히 이해가 안간 부분은 남편이 죽은후 미리 예약한 휴양지로 두번이나 휴가를 간것이다..보통 휴양지 관광지는 신나는 분위기지 않나 ...나라면 절이나 산속으로 들어갔을것 같은데..

죽음을 생각하며 더 열심히 희망차게 살아야겠다는 생각을 한다. 저자의 입장이 되었다 생각했더니 코로나 블루가 사라진 기분이다. 나는 아이도 어린데 ...

"출판사로부터 도서협찬을 받아 주관적인 견해로 작성하였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