레드 퀸 : 적혈의 여왕 1 레드 퀸
빅토리아 애비야드 지음, 김은숙 옮김 / 황금가지 / 2016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혁명은 불꽃이 필요하지. 그리고 불꽃은 타올라야하고."

 

작중에 등장하는 줄리언이 주인공 메리 배로우에게 했던 말이다.

 

아마도 많은 사람들이 이 책을 읽으면서 동시에 헝거게임을 떠올릴 것이다. 하지만 동시에 이 작가만의 전혀 다른 점들이 눈에 들어오기 시작할것이다.

 

근래 들어서 메이즈러너나 헝거게임 같이 어딘가 비슷하면서도 고유의 색을 지닌 작품들이 나타나기 마련인데 이 책도 그러하다.

 

사실 어쩌면 흔한 소재인 초능력에 그중 평범한 집에서 특별한 힘을 타고난 소녀, 그리고 그녀를 좋아하는 두명의 왕자와 소꿉친구. 많은 로맨스에서 등장하는 구조이고 또 이러한 관계속에서 방황하는 여주인공.

 

그래도 이 작품에서 작가가 특별히 넣은 장치를 생각하자면 역시 능력보다는 각 인물들이 선택하게 되는 행동에 대한 반응이다.

 

메리 배로우는 처음부터 혁명단의 일원이 아니였다. 착취당하는 적혈의 무리에서 누구나 가질 수 있는 비극아래서 똑같이 징병당하고 어쩌면 전쟁터 한가운데에서 죽었을 지도 모르는 삶이었다.

 

그렇지만 우연인지 운명인지 메어는 죽을 수 밖에 없었던 순간에 발휘된 능력으로 살아남게 되지만 동시에 가장 끔찍하게 여기는 은혈들의 왕궁에 왕세자비라는 명목 하에 감시와 감금을 당하게 된다.

 

자신의 오빠가 혁명단에 소속되어있었고, 거기서 또 죽음을 맞이하게 된것. 자신의 소꿉친구가 혁명단에 들게되고 고통받는 적혈들과 자신의 가족들의 모습을 왕궁에서 사치를 즐기는 은혈들을 보면서 무언가 바꿀수 있다는 희망을 가지고 내부협력자가 되어 혁명에 도움을 주겠다는 생각을 한 메어. 

 

하지만 혁명단에 참여한건 어떠한 신념보다도 갖혀버린 자신의 현실에서 선택할 수 있는 가장 큰 탈출구이자 반항이었기에 했던 선택이 아니였을까?  이러한 계기로 참여한 혁명에서 그녀는 자신이 살아갔던 적혈의 삶이 지극히 일부였고 더 많은 이들이 혁명에 참여하고, 목숨을 걸고 바꾸기 위해 노력했다는걸 알게 되지만 결국엔 함정에 빠진다.

 

그 누군가 말했듯이 그녀도 결국 누군가의 장기말이었기에.

 

이를 깨달은건 너무나 늦어버린 순간이었고 후회를 하며 그녀의 삶이 끝나기 전에 다시 한번의 기회가 더 주어졌다. 여기서 레드퀸은 끝이나고 후속작으로 이어지게 되는데 이 마지막이 되어서야말로 그녀가 진정 혁명에 참가하는 목표가 생긴것 같다.

 

증오는 사랑보다, 그 무엇보다 가장 큰 원동력이 될 수 있기에.

 

작가가 꽤나 적절한때 끊고 여주인공이 후속에서는 이전과 달라질 것을 암시했기에 독자들은 이를 기다리며 여주인공이 앞으로는 어떤 능동적인 행동을 해나갈지, 스스로 모든걸 보고 판단하고 누군가의 장기말이 아닌 그 자신의 선택으로 세상을 바꿔나가는 길에 일조하게 될지 기대를 걸 것이다.

 

뻔한 스토리에 반전과 날카로운 현실을 넣어서 그 뒤가 기대되게 만드는것은 확실히 대단한 역량이고 작가의 첫 작품이라고 믿기에는 꽤나 재미있어서 헝거게임 같이 투쟁과 혁명의 키워드를 좋아했던 사람이라면 한번쯤 이 작품을 읽어보기를 추천해본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