페미니즘으로 다시 쓰는 옛이야기
지현 외 지음 / 이프북스(IFBOOKS) / 2020년 7월
평점 :
품절


 

제목을 보고 어떤 식으로 책을 구성했을지 궁금했는데 프롤로그를 읽어보니 뿌리 깊게 박혀온 여성차별, 비하가 당연하다는 듯이 쓰인 옛이야기들을 새롭게 다시 썼다고 하여 과연 페미니즘적인 관점들을 어떤 식으로 담아냈을까 하는 궁금증과 함께 읽어나가기 시작했다.

 

. 신콩쥐팥쥐전

 

왜 항상 우리가 들으면서 자라온 옛이야기들 속의 소녀들, 여성들 ,딸들은 위험에 노출되어있는 것일까? 이러한 위험은 왜 스스로, 그리고 또 다른 여성들에 의해서가 아닌 무조건 사회적 지위와 권력이 있는 남성들이 나타나 정의를 실현해야만 그 위험 속에서 벗어날 수 있는 것 일 까? 이러한 옛이야기 속 공식 같은 고정관념을 깬 것이 바로 신콩쥐팥쥐전이다. 이 작품에서는 무엇보다도 혼자 꿋꿋이 고난을 이기고 자매간의 연대, 옛이야기 속 계모로 표현된 팥쥐 엄마를 포함한 세 여자의 연대에 초점이 맞춰졌기에 더욱 인상 깊었던 것 같다.

 

. 홍길영전

 

<아기 장수>에서 파생된 또 다른 민담인 <오누이 힘겨루기>를 이 책을 통해 접하게 되었는데 힘이 센 오누이가 목숨을 건 내기를 하게 되고, 엄마의 개입으로 딸이 죽게 되는 비극적이고 충격적인 스토리였다. 이 스토리를 통해서도 잘 들어나지만, 누나가 살아남아 영웅이 되고, 무엇보다도 누나가 지은 성은 홍길동성이 아닌 홍길영성이 되는 것은 너무나 당연한 것이다. 이 홍길영전에서 작가는 최소한의 이름 석 자는 되찾고 남길 가능성을 주고자 했다.

 

. 꼬리가 아홉인 이야기

 

이 소설은 평소 우리가 알고 있는 구미호와는 전혀 다른 관점에서 다루고 있기에, 구미호의 존재에 대해 구미호의 기원에 대해 한 번 더 생각해 볼 수 있었다. 구미호는 마녀와 같은 맥락이라는 것을 알 수 있었는데 여기서 내가 놀랐던 건 여성들의 지식과 권력을 어떻게 효율적으로 제거하기 위해 만들어진 역할이었고 또한, 우리가 쉽게 접할 수 있는 민담 속 여성 괴물들은 대부분 가부장제도하에서 남성이 통제할 수 없는 공포를 투사한 존재, 더 나아가 자신들이 가해한 폭력을 뒤집어씌운 피해자인 경우가 많다는 것이었다. 이 책의 마지막 장이 와닿아 함께 공유해보고 싶다. “구미호는 없다, 구미호라는 고약한 이름으로 불리던, 목소리 없는 여성들만 있었을 뿐이다. 헛된 이름들을 배척하자고 외치는 연대를 만들기 위해, 이 글을 쓴다.”

 

. 하늘 재판 극, 고통을 벗고 날개옷을 입다.

 

다른 글들과 달리 극으로 표현하였기에 좀 더 개개인의 특성과 성격이 잘 나타났고 장면들도 좀 더 생생하게 다가왔다. 특히 이 극에서는 원작 선녀와 나무꾼에서 볼 수 없었던 마야라는 존재를 주인공으로 설정하였는데 그녀는 이 작가가 심리치료 현장에서 만났던 수많은 여성을 대변하는 인물이었다. 많은 여성들을 대변했다는 것을 나는 마야가 마음의 공허함을 폭식으로 채우려는 행동을 통해서 이해할 수 있었다. 이러한 행동은 독립적이고 주체적인 삶을 위한 자아는 마야를 기존의 사회질서에 저항하도록 만들지만, 무의식 속 깊이 자리하고 있는 또 다른 자아는 이러한 행동은 위험하다고 말하고 있기 때문이었다. 마야를 통해 많은 여성들이 조금이나마 위로 받고 자신 속의 여러 자아들의 목소리에 귀 기울일 수 있는 계기가 될 수 있었으면 좋겠다.

 

평소 읽었던 페미니즘 도서의 대부분은 비문학이었기에 그런지 몰라도 다소 읽는 데시간이 많이 걸렸다면 이번 <페미니즘으로 다시 쓰는 옛이야기>의 경우 쉽게 읽어지지만 그 속에서 자연스럽게 이해하고 공감하고 함께 분노할 수 있었다는 점이 좋았던 것 같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