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침이 온다
츠지무라 미즈키 지음, 이정민 옮김 / 몽실북스 / 2017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어느 날부터인가 걸려오는 집전화. 전화를 받지만 대답없이 끊는 전화로 이야기는 시작된다.
사토코는 남편 기요카즈와 아들 아사코와 행복하지만 평범한 나날을 보내고 있다. 
평범한 일상속의 어느날 걸려온 전화에서  가타쿠라 히카리라는 여인이 ‘아이를 돌려달라’고 말한다.
사실 아사코는 기요카즈와 사토코가 갖은 노력으로 아이를 가지려다가 포기한 후에 입양한 아이이다.
 
이 책은 일본의 모습이지만 지금의 한국사회에서도 흔히 볼 수 있는 이야기가 담겨 있다.
결혼을 하면 아이를 가져야 한다고 생각하는 부모.
아이를 갖고 싶지만 갖은 노력을 해도 가질 수 없는 부부 .
난임치료를 하기엔 쉽지 않은 사회 환경.
혈연중심의 가족사회에서 쉽게 받아들여지지 않는 입양.
자녀의 마음보다는 성적과 사회에 비춰지는 모습을 더 신경쓰는 부모.
10대의 미혼모 자녀를 감싸주기보다는 부끄러워하는 부모.
그로 인해 마음을 잡지 못하고 엇나갈 수 밖에 없는 아이.

기요카즈와 사토코에겐 아사코라는 아침이 왔다. 가타쿠라 히카리에겐 과연 아침이 올까?

어린 시절 막연히 입양에 대해 생각해 본적이 있다. 그때는 일찍 결혼해서 아이를 낳고 가정을 이룬 상태에서 입양을 통해 또다른 아이를 가지는 건 어떨까라는 생각을 했었다. 어린 시절에는 그저 아이가 좋아서 그런 생각을 했는데 나이가 들어가고 여러가지 사건 사고를 들으면서 책속의 사토코 동료처럼 범죄자 부모나 이상한 부모를 가지는 아이가 입양해 온다면 어떻게 하나라는 두려움속에서 입양에 대한 생각이 부정적으로 변했었다. 입양기관의 대표의  "평범한 아이는 평범한 집안에 있다"라는 말과 입양 가정, 사토코의 이야기를 보면서 입양에 대해 다시긍정적으로 생각하게 되는 것 같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