암막의 게르니카
하라다 마하 지음, 김완 옮김 / 인디페이퍼 / 2017년 9월
평점 :
절판


"지적 호기심을 두드리는 전율의 아트 서스펜스 "
1인 출판사인 인디페이퍼에서 나온 암막의 게르니카 과연 어떤 내용이 담겨 있을까? 피카소의 그림과 전쟁의 이야기라고ㅛ 하는데 너무 궁금하다

책은 부모의 손에 이끌려간 전시실에서 마주친 [게르니카]에 반하는 요코의 이야기부터 시작한다 . 그 후 또 한번위 [게르니카]를 보게 되고 [게르니카]에 이끌려 피카소의 전문가가 된 요코는 MoMA에 입사하게 되고 피카소에 관한 전시를 준비하던 중 911테러 발생으로 남편 이든을 잃게 되고 스페인으로 반환한 [게르니카]를 전시하고자 한다. 그러던 중 유엔이 미국의 군사행동을 용인하는 날 유엔에 걸려있던 [게르니카] 태피스트리가 암막에 가려지는 사건이 발생한다

스페인내전으로 혼란스러운 시대에 파리만국박람회에 전시할 그림을 의뢰받고 고민하는 피카소에게 스페인의 게르니카 지방의 폭격소식이 전해지고 전쟁에 대한 분노와 아픔, 비난,반대에 의미를 담은 그림이 완성된다

학창시절 피카소의 그림을 보긴 했지만 [게르니카]작품은 표지를 통해 처음 접하게 되었다 지옥도같은 느낌의 그림을 보고 있으면 전쟁이 얼마나 끔찍하고 공포스러운일인지 알 수있다
작품을 통한 저항,비난,경고등을 한다는 게 얼마나 대단한지 UN에서의 미국의 이라크 공격을 승인할 때 장막까지 씌워야했을까 싶다

20세기의 실존인물과 실제 사건과 더불어 21세기의 큰사건을 중심으로 픽션으로 쓰여진 소설이다. 현대의 사건이 주를이루지만 눈길이 가는 곤 피카소의 시대가 아닌가싶다 위대한 예술가의 삶과 생각,작품들을 좀 더 가까이 엿보는 듯한 느낌이었다 .
현대의 이야기도 나쁘진 않지만 실제 역사속 사건인 만큼 정부관계자나 대통령의 이름은 실존인물을 써도 되지않을까싶다 개인적이겠지만 부시 대신 존테일러의 이름이 나올때마다 몰입도가 떨어지는 안타까움이 있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