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내 아이를 위한 독서교육
김영주 지음 / 생각수레 / 2020년 5월
평점 :
제가 책에 관심을 가지고
책에 애정을 갖기 시작한 지는
얼마되지 않았어요.
육아를 하면서 그림책도 접하고
육아서로 찾아보고……
비록 관심사가 한정되어 있긴 하지만,
책이 내 삶에 도움을 넘어
활력을 준다는 사실을 깨달았을 때,
'아~내가 좀 더 일찍부터 책을 가까이했더라면' 하는
후회와 아쉬움이 있었지요.
'우리 아이들은 어린 시절부터
책을 가까이하면 참 좋겠다'고 늘 바랐지만,
생각만큼 쉽지 않더군요.
책 읽는 가족문화, 너무나 멋지지만
스마트폰의 유혹을 뿌리치고 책을 집어드는 것이
그리 쉬운 일이 아니더라구요.

내 아이를 위한 독서교육
김영주 지음 / 생각수레
남편의 유학으로 미국으로 가게 된 저자의 가족.
이 책은 아이들이 어떻게 단기간에
영어를 습득했는지,
미국 아이들도 합격하기 힘든
영재시험에 합격할 수 있었는지,
저자 스스로 되물으며
그에 대한 답을 정리한 책이예요.
"오랜 세월 공부하고 사색하며 얻은
자녀교육의 핵심 키워드는 독서였다.
독서는 선택이 아니라 필수였다.
나의 삶에서 두 아이들이 보여주는 증거가 쌓이며
책 읽기가 만병통치약이 될 수 있다는 믿음은
이제 확신이 되었다."
(p.11)
저자는 자녀교육의 중심을 독서에 두고
아이들의 책 읽는 습관을 만들어주기 위해
애썼는데,
그것이 독서강국 미국의 문화와 만나
단단히 습관으로 자리잡을 수 있었다 해요.


1장 책읽기가 전부다
독서교육의 핵심은 초등 6년인데,
태어나서 7세까지 책에 최대한 많이 노출시키는 것이
중요하다고 이야기한다.
2장 미국에서 경험한 독서문화
1년 반 동안 체류한 미국에서 보고 듣고 느낀
독서 선진국 미국의 독서문화를 담았다.
3장 내 아이를 위한 독서교육
아이들에게 독서습관을 정착시키기 위해 노력했던
저자만의 노하우를 소개한다.
4장 내 아이를 위한 독서교육 방법
이 책을 읽는 부모들이 자녀에게
어떻게 적용하면 좋을지,
아이디어와 영감을 얻을 수 있도록
구체적인 독서법을 제시한다.


이 책에서 제일 흥미로웠던 부분이
미국 도서관 이야기였어요.
125년이 넘는 역사를 자랑하는 산타모니카 도서관,
한글책을 많이 보유한 피오피코 도서관,
경험하는 도서관을 표방한 세리토스 도서관,
럭셔리한 베벌리힐스 도서관 등,,
각 지역의 유명한 도서관을 직접 투어하고
소개해주는 부분이 신선하고 재밌었어요.
아이들이 책을 즐기도록 유도하는
세심한 인테리어부터 다양한 이벤트까지,
미국이 독서 강국임을 도서관만 보아도
알 수 있었답니다.
특히, 산타모니카 도서관은
대출기한이 한달이고,
대출가능도서가 25권이라는 점이
저는 맘에 들었네요.
도서관에 자주 가지 않아도 되고
읽었던 책 중 맘에 드는 책이 있다면
또 다시 펼쳐볼 수 있는 넉넉한 기한이기에.
"책 안에 존재하는 세상과 경험이
시공간을 초월하는 무한한 것임을
아이들은 알아가고 있다.
콩나물 시루에 준 물은 다 빠져나갈지언정
콩나물은 쑥쑥 자라듯
독서는 아이를 키우는
영양수, 생명수와 같은 역할을 하고 있다.
책 읽는 아이의 성장은
촘촘하고 밀도있게 진행된다."
(p.298-299)
내 아이를 위한 독서교육
김영주 지음 / 생각수레
독서의 중요성을 한번 더 확인할 수 있었던 책.
아이들은 부모의 뒷모습을 보고 자란다느데,
이제부턴 놀이터를 가거나 여행을 가거나,,
잠깐 외출을 하더라도
가방 속에 늘 책 1권은 넣고 다니는
엄마의 모습을 보여줘야겠다 다짐해 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