달라도 친구 웅진 우리그림책 11
허은미 지음, 정현지 그림 / 웅진주니어 / 2021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OO이는 달라. 나하고 달라."라고 시작하는 그림책 

<달라도 친구>



둥글게 모여 손잡고 어깨동무한 아이들 그림이 참 포근하다.

(다 읽고 나면, 인간 외에 동물과 식물까지 어우러진 모습이 함께하는 것도작가님의 의도가 있을 것만 같다.)

이 그림책의 특징을 꼽는다면

보다시피 "나는 ~한데, OO이는 너무 ~해. / 저렇게 ~해." 라고 하는 점이다. 하다못해 '너무 ~ 해.' 라고 할 지언정, 

'OO이는 이상해.' 라고 절대 말하지 않는다.



두 명을 짝지어 서로의 입장을 교차해 보여주면서

상대에게는 독특하게 보일 수 있는 것들도

막상 본인에게는 별다른 일이 아니라는 입장을 보여준다.



또, 상대적으로 친구와 비교해 떨어지거나 특수하다고 

'고정관념'이 생기기 마련인 특징에도 멈칫하거나 굴하지 않는다.​


조용하거나, 키가 작거나, 곤충을 좋아하거나, 다리가 불편하거나, 부모님이 따로 사시거나, 피부색이 다르거나, 재외 동포거나 등의 특징은 말 그대로 개개인의 '특징'일 뿐이다.


​▲

오히려 이 사실에 

"난 ~는 좀 못하지만 ~는 좋아해. ~는 멋진 일이야." 

“난 ~은 좀 느리지만 ~는 누구보다 자신 있어.” 등으로 

받아치며 자존감 높은 모습을 보인다.


또는 되려 

"친구들보다 ~해 불편할 때도 있지만 좋을 때도 많아. ~ 건 나밖에 없을걸?"이라고, '오히려 좋아' 정신을 발휘하기도 한다.


저도 모르게 끊임없이 주변 타인과 비교하며 본인을 재단하고, 평균이라도 되려 노력하게 되는 세상이다.

그런데 이 마법 같은 그림책 <달라도 친구>를 읽다 보면 

서로 다른 것이 당연하게 보이게 된다.


​성격이,  좋아하는 것이, 몸 상태가, 생김새가 달라도 문제 없다. 

이 모든 것을 전혀 의식하지도 않고 

나와 너 우리는 친구가 될 수 있음을 보여주는 그림책 

<달라도 친구> 되시겠다.


-내성적이면 “사교성이 떨어지니 빨리 사람들과 좀 어울리렴!” 

- 신체 일부가 불편한 친구를 만나면 "네가 무조건 배려하렴"

-곤충을 좋아하면 “어쩜 그런 거미 같은 걸 좋아해서 어디 쓸래? 무난하게 강아지라도 좋아 하렴.”

-별거 또는 한부모가정을 만나면 ”부모님이 따로 사는 가정이면 뭔가 좀 그럴 거야.”

-피부색이 다른 다문화 가정 아이을 보면 빤히 보는 등등의


좋은 뜻에서 우러나왔을지언정, 그러나 가끔은 무례할 수 있는 

'오지랖' 어린 시선은 그 어디에도 없다. 


​옆 친구와 다른 건 당연한 것이고, 

이러한 특징은 옆 나라까지 확장되어 통용되는 포용성을 포인다.


​이 책 속에서 다른 빛깔의 일곱 명의 아이들이 우정으로 어울리는 모습을 보면, 이 모든 걱정과 우려는 어른의 '편견' 속에서만 존재하는 걸림돌일 뿐이다.

<달라도 친구> 속에서 나오는 이런 모습을 보면 누구와도 친구가 될 수 있을 것 같은 자신감과 포용성이 마냥 샘솟는 기분이다. 


"틀린 걸까?" "이상한 걸까?" "잘못된 걸까?"

이런 질문을 던지고

->  "달라도 우린 친구야." 라고 답하며

이 그림책은 끝이 난다.


일반적으로 그림책은 아이들을 위한 것이긴 하지만, 

점차 저도 모르게 집단을 가르고, 타인을 배척하게 되는 

우리 어른들도 이 그림책을 꼭 읽어보면 좋을 것 같다.

(편 가르기가 더하면 더했지, 모자랄 것 같지는 않다...!)



여러모로 많은 생각을 주는 책 <달라도 친구>를 만나보시길 추천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