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도, 인디스쿨 - 어쩌다 14만 초등교사 커뮤니티가 되어버린 인디스쿨, 그 20년간의 실험기
인디스쿨 20주년 기념 아카이브 팀 지음 / 진저티프로젝트 / 2021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오늘도, 인디스쿨은 어떻게 선생님 커뮤니티가 탄생하고 변화해 왔는지, 20년 역사가 담겨있는 한 권이라 묵-직한 책이다. 지금 말하고 있는 묵직함은 담겨있는 내용의 무게감이다. 물리적으로는 새하얗고 가벼워 읽기에 부담이 없다.

1, 2대 운영진 등 커뮤니티 핵심 멤버들의 인터뷰를 하러 다니신 필자분들은 전문 인터뷰어에 가까울 정도로 심도 있는 인터뷰를 해냈다. 물론 이것은 그게 응하는 인터뷰 대상, 즉 역대 운영진분들도 도 솔직하고 소탈하게 응해주셨기 때문일 것이다. 진심 어리면서도 밀도 있는 인터뷰 내용은 책장을 술술 넘어가게 한다.


  그 중 특히, 커뮤니티 창시자라 할 수 있는 1대 운영진분의 인터뷰가 가장 인상 깊게 남는다. 이 분은 처음 커뮤니티를 열 때, 현재처럼 커뮤니티가 커질지도 몰랐고, 그냥 재미있어서 시작했다고 한다. 이 한 마디가 머리를 때리는 것 같았다. 현재도 매일같이 이 커뮤니티를 열렬히 들락날락하는 전국의 수많은 커뮤니티 구성원들 사이에서는 거의 동학과 같은 종교의 탄생’-급일 텐데 말이다. 조직 문화 특성상, 특히나 서로를 동떨어지고 외롭게 만들었던 교실의 벽이라는 물리적 벽을 부수고, 서로를 인터넷상으로 연결해 준 감히 말하자면 혁명과도 같은 일임에 틀림없는데 말이다.


  더 놀라운 것은 그럼에도 본인을 내세우지 않고, 공식적인 곳에서도 뒤에 남아 있기를 자처하는 역대 운영진들의 태도이다. 이것이 바로 모두의, 모두에 의한, 모두를 위한이 커뮤니티만의 문화를 지금까지 유지해온 비결이 아닐까 한다. 누구도 주인이 아니면서, 누구나 주인인 우리가 이상적으로 여기는 커뮤니티가 이렇게 탄생하고 유지되어 올 수 있었다는 비결을 여기서 엿볼 수 있다. 덧붙여 지금까지도 여러 권유에도 불구하고, 조금이라도 상업화되지 않은 커뮤니티의 모습에 가히 존경심을 표한다.

  

  굵직굵직한 운영진들 외에도, 중간중간에 등장하는 커뮤니티의 네임드 운영진 취재 코너가 나오는 것도 참 반갑다. 한 번씩 어디서인가 본 네임드 구성원들을 보면서, 다른 커뮤니티 구성원들은 내심 반가울 것이다. 앞 표지 면지 쪽에는 책 출간 펀딩에 참여한 커뮤니티 구성원들의 닉네임을 쫙 깔아둔 것도 감동적이다. 이렇게나 수평적이다.


  사실, 보통 몇 십 주년 기념으로 만들어진 쓸데없이 굵직한 양장본의 연혁지를 보면, 초대 OOO이 어쨌고, 그 뒤를 이은 대표자 OOO, OOO 등이 있고, 몇 년에 뭐를 했고 등등 단순 사실적인 나열의 내용뿐이다. 마치 무생물을 전시하듯 전혀 따스함이나 철학이 녹아있을 틈이 없다. 그런데, 이번에 만난 이 20주년 기념책은 달랐다. 따스한 카페에 앉아서 즐기는 커뮤니티 산 증인들과의 만남 같은 느낌이었다. 이만큼 살아있는 듯 역동적인 느낌을 주는 책과의 만남은 오랜만이다.


  책 제목 오늘도, 인디스쿨처럼, 오늘도 많은 구성원들이 이 커뮤니티를 사용하고 있을 것이다. 커뮤니티의 철학과 이를 꾸준히 녹이고 실천해 나간 모습을 보면서, 꼭 선생님이 아니라도 커뮤니티 구성원으로서 여러 배울 점이 있다. 어떤 공동체가 하든, 앞으로의 기념지나 연혁지는 이런 모습이길 바란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