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미담 고미답 : 애정 소설 교과서에 나오는 우리 고전 새로 읽기 6
엄예현 지음, 김주경 그림 / 아주좋은날 / 2020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벌써? 라는 아쉬움이 듬뿍 담긴 말이 절로 나오는 서적이 바로 <고미담 고미답 시리즈 6번째 애정 소설>이다. 하도 들어서 다수가 책을 읽어보지 않았어도 홍길동전만큼 특정 장면은 익숙한 <춘향전>과 교과서에서 시험으로 접했던 <구운몽> 그리고 조금은 낯선 <운영전>이 담겨있다. 필자의 말처럼 세 가지 빛깔의 사랑 이야기다.



 

그리고 교양 국문학 시간에 알게 되었던 춘향전 원전의 충격과 그 새로웠던 기억은 아직도 생생히 남아있다. 어릴 적에 본 신기한 세상의 재미난 동화인 줄 착각하고 10대를 보냈던 걸리버여행기처럼 말이다춘향전과 운영전에서는 기생과 궁녀에 관한 소소하지만 알찬 역사적 사실도 추가로 알 기회를 준다. 기억해두면 뽐내기용으로 좋을 듯.



 

이러저러하고 여차여차해도 고미담의 매력은 그간 어렵게만 여겨졌던 우리 고전을 최대한 쉬운 말과 표현으로 남녀노소 어린아이 가리지 않고 정말 부담 없이 짧은 시간에 고전독서의 매력을 흠뻑 느낄 수 있도록 한다는 것이다. 이번 편도 어김없이 그러하였다.



 

마지막으로 예전 후기에서도 가끔 다룬 각 소설 마지막에 나오는 <토론하기>에 있는 의미 있는 질문 몇가지를 함께 생각해보고자 한다.

1. 정절을 지켜야만 열녀가 될 수 있는 것일까? 열녀의 기준은 누가 만든 것일까?

2. 사랑에 있어 남자와 여자의 역할이 따로 있을까?

3. 욕망을 어떻게 긍정적으로 사용할 수 있을까?



 

세 편의 소설에 있는 질문들에서 하나씩 추려보았다. 3번을 제외하고는 곧바로 답이 떠오르지 않는 쉽지 않은 물음이었다. 정절은 절개를 곧게 하고 굽히지 않음을 의미하고 이는 결국 여성에게 정조 관념으로 이어져 순결을 지키는 의미로 통상사용된다. 烈行(열행)으로.......

아무리 고전 속 이야기일지라도 무수한 생각을 하게 만든다.



 

아무튼, 6편까지 무려 열 여덟 작품으로 우리 고전 읽기에 새로운 지평을 연 관계자분들에게 독자로서 진심으로 감사의 말씀을 하고 싶다. 최고였어요. ^^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