엄마, 히말라야는 왜 가?
백운희 지음 / 책구름 / 2020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이 책의 제목을 보자마자 든 생각은, 엄마에 관한 것이었다.







작년 가을, 엄마가 중국엘 간다고 했다. 그제서야 이것이 엄마의 첫 해외여행이라는 사실을 벼락 맞듯 깨달았다. 그것이 불효처럼 느껴졌다. 다행히 엄마는 혼자 떠나지 않았다. 엄마가 한국을 떠난다는 것이 피부로 와 닿은 것은 불청객처럼 찾아온 걱정들이 문득 치밀어 오를 때였다. 말이 통하지 않는 곳인데 어쩌지? 나처럼 외지의 물이 안 맞아서 배가 아프면 어떡하지? 음식은 괜찮을까? 사진 찍다가 사람들이랑 떨어지면 안 되는데.


그리고 같은 해, 한 가족의 가장이자 엔터테이너로 활발하게 활동 중이던 남성 연예인이 갑자기 활동을 중단하고 '혼자' 해외로 떠난다는 소식도 기억났다. 그는 다른 환경에서 다른 감정을 느끼며 창작 활동을 지속하고 싶다고 했다. 아내의 허락 하에 간다는 말에, 그를 지탄하려던 수많은 잣대들이  뒤돌아섰다. '아내의 허락을 받았다면야 뭐…….'


하지만, 결혼한 여성 연예인이 활동에 도움이 되기 위한 여행을 '홀로' 떠났다는 소식은 들은 적이 없었다. 그런 생각이 들자, 그때부터 이 책이 너무 궁금해졌다.


책 제목을 정하는 것에 점수를 줄 수 있다면, 이 책은 <만점>을 주고 싶다. 우선, "엄마, 히말라야는 왜 가?" 라는 문장에서 알 수 있듯, 아이가 엄마에게 질문하는 형식이 사회에서 '엄마'라는 이름으로 여성들에게 씌운 돌봄노동을 상징적으로 보여주는 것 같았다. 그리고 '엄마'와 '히말라야' 단어가 한 문장 안에서 쓰인 것이 새로웠다. 


모든 일에는 항상 개인적인 감정이 들어가지 않을 수 없다. 세속적인 질문부터 개인적으로 작가에게 물어보고 싶은 질문까지. 제목 하나에서 너무나 많은 궁금증이 파생됐다. '엄마'인 여성이 '혼자서', '히말라야'까지 가게 된 이유는 뭘까. 저자는 고장 난 테이프처럼 수없이 반복됐을 질문들에 대해 어떻게 대답했을까. 


기다렸던 책을 받은 행복감이 풍선처럼 부풀어 오르는 한 편에서는, 걱정과 염려가 바늘이 되어 콕콕 찌르고 있었다.






"산과 바다 중 하나를 고른다면? 내 대답은 산이다.(24쪽)"


저자가 한 사람으로서 산에 대해 갖는 의미는 남달랐다. "히말라야를 가겠다고 마음먹은 것도 산에 대한 애정과 열망이 시작이었다.(29쪽)" 그리고 "지연된 애도로 이제는 너를 서럽게만 부르지 않겠다는 약속을 하기 위해서(32쪽)"였다. 그녀가 그랬듯, 나에게도 되돌아볼 수 없는 시간들이 있다. 그래서 저자가 쌓아온 이유가 더욱 크게 공감 되었는지도 모르겠다. 


무엇보다 힘든 건 밀어내고 밀어내도 돌아오는 파도 같은 질문들이 아니었을까. 한 달도 아니고, 2주였다. "배려라고 쓰고 차별이라고 읽고 싶은(37쪽)" 주변의 반응 속에서 출발 당일까지 걱정에서 허우적 댄 것은 떠나는 사람, 혼자가 아니었다. 그리고 기회 비용을 생각해야 하는 가계의 금전적 문제와, 맞닥뜨릴 신체적 고난들도 있었다. 그런 것들을 모두 감싸 안고, 엄마는 히말라야로 향하게 됐다.


그렇게 도착한 네팔은 '눈 맑은 존재들의 나라'였다.


볕의 세기가 달라지고, 어딜가도 콜리플라워가 쌓인 이색적인 모습을 가진 히말라야의 나라를 지나갔다. 한 라마승이 잃어버린 소를 헤매다 찾은 곳이 마치 낙원 같았다는 '소를 잃어버린 곳'이라는 뜻의 '랑탕'에 도착했다. "설렘보다 두려움이 컸다.(87쪽)" 이제부터 시작이었다. 


체력을 안배하고, 고산증세를 예방하기 위해서 쉬어가며 올라야 했다. 쉬운 일이 아니라고 각오하고 간 곳이었지만 맞닥뜨린 추위와 고통은 불면의 밤을 선사했다. 때 이른 월경 주기로 인해 찾아온 두통과 "낯설지만 힘든 과정과 위로의 시간(130쪽)"은 정체성을 더듬어가고 있는 과정이기도 했다. 


"최선은 어디까지여야 할까?(169쪽)" 고산병은 생명이 위험해질 수 있기 때문에 육체의 한계에 도달하면 포기하는 편이 나았다. 새벽부터 출발했던 길 위, 체르코리 등반 중에 몸을 돌려야 했다. 몸이 내지르는 경고를 더 이상 무시할 수 없었다. 숙소로 돌아와, 그간의 불면을 보상하듯 숙면을 취한 뒤, 일기를 쓰며 자신과 마주하는 시간을 가졌다. "우리는 모두 각자의 방식으로 최선을 다했다.(172쪽)"


"과업을 수행하듯 꾸역꾸역 올라왔다면, 내려가는 길은 인생의 덤처럼 유쾌하고 고마웠다.(202쪽)" 


산을 오른다는 것은 단순히 걸음을 오르내리는 것이 아니었다. 정상에 올라 외치고 싶은 말이 있었고, 한 사람으로서의 욕심이 있었고, 일상에서 보지 못했던 풍경이 있었다. 돌봄 노동에 지친 '엄마'의 틀에서 벗어난 '백운희'라는, 한 사람의 이야기가 있었다.


*


 에필로그를 앞두고 마지막 챕터를 읽다가 햇빛에 이끌리는 푸른 잎처럼, 마음이 기울어지는 문장을 만났다.


"글을 쓰면 산란했던 감정들이 올곧게 줄을 지었다(231쪽)."


꼭 내가 글을 쓰기 시작한 이유 같았다. 나는 내가 느꼈던 생각과 감정들이 흩어지기 전에 가지런히 모아두고 싶었다. 명명되지 못한 것들은 분류함에 잘 개켜 놓고 그것을 알 수 있을 때에 다시 꺼내어 보고 싶었다. 사회 속에 사는 인간이면서도, 내가 '여성'이기 때문에 씌워진 멍에에 대한 이야기를 쓰고 싶었다. 억압과 차별의 부조리들을 쓰고 싶었다. 


세상이 항상 따뜻함만으로 가득한, 풍족한 곳간이면 얼마나 좋을까. 종종 마주치는 풍파들은 나를 꺾고, 깎고, 사그라들게 했다. 그럴 때마다 먼지가 되어 사라지거나, 침잠하여 도피하고 싶은 마음들이 나를 흔들었다. 그래서 시작하게 된 것이 글쓰기였다. 쓰는 것은 치유의 과정이고 나와 화해하는 방법이고 나를 나아가게 하는 동력이 되었다. 이제는 읽고 쓰지 않는 삶을 생각할 수가 없다. 


저자는 "취향은 물론 일을 내려놓고 사회적 성취 욕구마저 포기하는 엄마의 결단(15쪽)"을 강요 당하는 사회 속에서 "아이와 떨어져 오직 나로 존재하는 경험이자 재 사회화 과정(17쪽)"을 겪었다. 책 곳곳에서 말하듯, "여성이기에 제약 받는 현실(139쪽)"에 대한 이야기들은 곧 나의 경험이었고, 공감이었다. 


우리는 매일매일 최선을 다해 산다. 그 누구도 타인의 최선을 제 멋대로 재단하여 최선이 아닌 것처럼 비하해서는 안된다. 사회가 맡겨 놓은 여성들의 돌봄노동이 하루빨리 제도화 될 수 있었으면 좋겠다. '엄마'가 아닌, 일상을 벗어나 쉬고 싶은 한 명의 인간으로 여행을 떠나는 것이 자연스러운 일이 되었으면 싶다.


책을 읽어가는 동안 자꾸만 메이는 목을 눌러 삼켰다. 속에서 뒤섞여 치미는 감정들이 소란 했다. 내가 쓴 사회적 가면들이 하나가 아니듯, 그 감정들도 한 가지가 아니었기에 분류할 수 없어 내버려 두었다. 책에서 노력과 희망을 보았다. 산을 품고 살아가는 이야기가 가슴 속 깊이 와닿았다.



※ 책구름 출판사 서포터즈, 「책구름지기」 1기로 선정되어 출판사로부터 도서를 제공 받아 작성된 서평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