당신 지식의 한계 세계관 - 과학적 생각의 탄생, 경쟁, 충돌의 역사
리처드 드위트 지음, 김희주 옮김 / 세종(세종서적) / 2020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아리스토텔레스 세계관에서 뉴턴 세계관으로. 그리고 아인슈타인으로.


과학사 역시, 인류의 발전과 발맞춰 진화해 왔다. 현대를 살아가면서 과학의 역사를 학문적으로 접할 일이 많지 않은 만큼 귀중한 책이라는 생각이 들었다. 







이 책의 목적은 과학사와 과학철학의 기본적인 쟁점을 소개하고, 아리스토텔레스 세계관에서 뉴턴 세계관으로의 전환을 탐구하고, 상대성이론과 양자론, 진화론 등 최근의 과학 발전에 따라 서구 세계관이 직면한 도전을 탐구하는 것이다.


1부에서는 과학사와 과학철학의 기본적인 쟁점을 소개하고, 2부와 3부에서는 이런 주제들이 서로 어떻게 연결되고 어떤 관련이 있는지 살펴본다.







세계관이란?


흔히, SF소설이나 판타지 소설, 게임을 소개할때 자주 듣는 말이다. 그래서 나의 짧은 식견으로는, 과학책에서 '세계관'이라는 말이 튀어나오자 좀 어색하기도 했다. 하지만 제목에도 번듯하게 적혀있는 만큼 그 의미를 짚어볼 필요가 느껴졌다.


세계관이라는 용어는 표준적인 정의가 딱히 없다. 이 책에서는 퍼즐 조각이 맞물리듯 서로 연결된 믿음 체계를 뜻한다. 서로 밀접한 관계로 엮이고 연결된 믿음 체계다.


무슨 뜻이냐고?






만약, 내가 어떤 이론을 믿는다고 가정한다면. 그 기초는 대부분의 문화권에서 받아들여지는 일련의 믿음의 집합일 것이다. 이 믿음들은 무작위가 아니다. 대체로 근거가 있는 것들이다. 나중에 아니라고 밝혀질 지언정, 지금 내가 사는 세계에서는 진실이라고 여겨지이는, 우주는 정당한 것들이다. 


무작위가 아니라는 말은 이 믿음들은 밀접한 관계를 맺고 있다는 것을 뜻한다. 마치 퍼즐처럼. 각각의 믿음이 주변의 믿음과 연결되고, 그 믿음이 다시 주위의 믿음과 연결된다.


퍼즐을 자세히 살펴보면, 서로 연결되어 있음으로 중심 조각은 전체를 교체하지 않는 한 바뀌기 어렵다. 이처럼 믿음에도 중심 믿음과 주변 믿음으로 구별된다. 가운데의 중심 믿음이 전체 믿음 체계의 핵심이다.



조금 이해했다면, 이 믿음 퍼즐에서 펼쳐 나가는 다양한 예비적이고 기본적인 이론들을 읽어나갈 수 있을 것이다.






1부에서 아리스토텔레스의 세계관에 대해 말했다면, 2부는 뉴턴 세계관으로 바뀌는 과정에 대한 탐구가 이루어진다. 


뉴턴이라고 하면 가장 먼저 무엇이 떠오르는가? 사과나무? 그렇다면, 왜 뉴턴의 이야기에서는 사과나무가 중요한 걸까?


이것은 우주의 중심이 지구일 것이라는 아리스토텔레스의 세계관에서, 지구 중심의 세계관으로 넘어오게 되기 때문이다.


아리스토텔레스는 돌이 밑으로 떨어지는 이유는 돌의 본질이 무거운 흙 원소로 구성되고 흙 원소는 우주의 중심을 향해 움직이는 성향이 있기 때문이다. 본질적인 성질에 따라서 우주의 중심인 지구의 중심을 향해 떨어진다고 생각했다.


하지만 우리는 지금 돌이 떨어지는 이유가 뭐냐고 물어본다면, 어떻게 답을 할까? 중력때문이라고 할 것이다. 새로운 발견들에 의해, 지구중심설은 점점 흔들리기 시작했다. 아리스토텔레스 과학을 대체할 학문에 대한 필요성이 대두된 것이다. 그래서 새로운 세계관이 등장하게 되었다. 뉴턴의 세계관의 등장으로 인해, 다양한 과학 분야가 빠르게 발전할 수 있었다.



거의 모든 부분이 훌륭하게 맞아들어가는 것으로 보였던 뉴턴 세계관도 마침내, 두 가지 문제를 맞닥뜨리게 된다. 마이컬슨-몰리의 실험 결과와 흑체복사 문제이다. 



"이런 것들을 설명하기 위해 아인슈타인의 상대성이론과 양자론, 진화론이 나타나게 된다.




*


과학에 끝이 있을 수 있을까? 어디서 멈춰야 할 지 모르고 달려나가는 과학 이론들을 읽다보니, 조금 오싹하기도 했다. 


아리스토텔레스부터 인류는 우주를 인지하고 우주에 대한 생각을 했다. 점점 맞지 않는 사실들이 발견되면서 뒤집어지기도 하고, 아예 새로운 세계관이 나타나기도 하면서 지금까지도 현대의 과학은 발전하고 있다. 특히, 양자역학 관련 내용은 과학자들 중에서도 100% 완벽하게 이해하는 사람이 없다고 하니 우주의 수수께끼를 풀 길은 아직 요원한것 같다.


과학에 대한 이야기를 읽다보니, 철학이나 역사와도 많이 관련이 있었다. 당연할 것이다. 인류의 발전과 함께 발맞춰 온 이론들이 아닌가. 현대를 살아가고 있는 과학에 관심있는 사람 중 한명으로써, 앞으로도 지금과는 또 다른 새로운 어떤 세계관이 펼쳐질지 기대되기도 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