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래서, 동의가 뭐야? 따뜻한 지혜, 인문 Pick! 1
저스틴 행콕 지음, 푸크시아 맥커리 그림, 김정은 옮김 / 픽(잇츠북) / 2021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이 글에는 스포일러가 포함되어 있습니다.









아이가 클수록, 책의 중요성은 점점 커집니다.

특히, 사춘기 때는 자아가 형성하는 시기이니 더 아이의

책에 대해서는 신중해져야 하지 않을까 싶네요.

그 중 가장 중요한 건 아이의 철학, 가치관 그리고 인성에 관한 부분은 신경 쓰게 된답니다.

제가 어릴 때의 책은 어떤 책이든지 다 좋다고 생각했지만,

요즘 인터넷 세상이기에 많은 정보의 제대로 된 정보를

구별하기가 힘들 수 밖에 없는 세상인 듯 합니다.

그렇기에 아이가 커가는 과정에 분별력과 지혜는 가장 필요한 덕목이 된 듯 싶습니다.

그래서 아이의 책은 대부분은 함께 읽고 이야기 하는 편이랍니다.

이번에 선택한 책은 잇츠북 출판사에서 새롭게 나온 인문 Pick 첫번째 책 < 그래서, 동의가 뭐야? > 와 함께 합니다.



우리는 하루에도 몇십번씩 선택에 의해 살아갑니다.

한걸음 떼는 발걸음 조차도 자신의 선택이 필요한 삶을 살지요.

그런 선택에 있어 동의란 가장 필요한 자신의 선택이자, 다른 사람과 함께 살아가야 하는 가장 필요한 능력이기도 하지요.

하지만, 이런 동의가 때론 잘못된 의미로 받아 들일 수 있기도 해요.

그렇기에 동의가 왜 필요한지, 상황과 여건에 따른 동의에 대한 생각을 제대로 알아야 한답니다.

동의하다 자신의 선택에 따라 승낙하고 합의한다.

이때 그 선택을 할 수 있는 자유와 능력이 있어야 한다.

_ 8쪽

동의라는 의미 안에는 많은 단어의 의미가 들어가 있습니다.

선택, 승낙, 합의, 자유, 능력

그만큼 동의라는 의미는 스스로의 결정 능력에 따라 좌우되는 상황임을 더 명백하게 되지요.

그렇기에 자신의 마음을 정확히 알고 정확하게 표현하고 남의 동의 또한 정확하게 파악해야 함을 알아야 합니다.

때론, 동의의 질문에 '예' 또는 '아니오' 도 아닌 침묵이 존재할 때도 있지요.

침묵이 꼭 동의를 말하는 건 아님을 정확하게 알아야 합니다.

( 어쩜, 동의 보다는 이도 저도 아닌 부정에 가까운 경우가 많지요. )




동의는 여러 상황 속에서의 선택을 하게 되지요.

특히 ' 성에 대해서'는 더 신중해야 합니다.

초등 고학년과 중학생 아이들이 보는 권장연령 책이지만, 개인적으로 권장연령 보다는 아이의 성에 대한 마음 가짐에 띠라 함께 보고 알려줘야 하는 듯 합니다.

물론, 이 책의 저자 역시 이 책을 읽는 아이의 마음이 준비되지 않았다면 이 부분에 대해서는 보지 않아도 된다고 친절하게 이야기 해줍니다.

성에 있어서도 남녀가 함께 동의하는 과정속의 일련된 행동이기에 가장 필수적인 부분이지요.

이 책은 성에 개인적인 동의에 대해서도 이야기 해주지만,

성에 대한 행동은 일련적인 행동과 장면에 의한 것이 아닌 서로가 합의 아래에서의 여러 행동이라고 이야기 해줍니다.





책을 읽다보니, 영국 작가라 그런지 불편한 점도 등장합니다.

'동의' 라는 단어 아래야 젠더의 의미까지 이야기 합니다.

젠더의 의미에는 남자, 여자의 양성아 아닌 동성애와 양성애 에 대한 차별도 언급합니다.

아직은 우리나라 사상과는 맞지 않은 부분인 듯 합니다.

그들을 차별하지 말아야 한다는 건, 존재에 대해 인정하는 부분이 될테니깐요.

아직까지 우리나라에서는 혼란을 가중하는 부분이기에

자아를 형성하는 아이들에게 당연한 정의처럼 받아 들이는 점은 조심스러운 부분이라고 생각합니다.

( 뉴스를 통해서 보면 남자이지만 자신의 성정체성을 거론하면 여탕에 들어간다니..... ㅠㅠ 얼마나 혼란을 가중할지........심히 걱정이..)

사람마다 개인차도 있지만, 나라별 가치관 차이도 생각하면서 아이와 함께 봐야 합니다.

때론 책이 주는 힘이 크기에 무조건 아이들에게서 보여주는 것을 조심해야 합니다.

특히 자아가 형성되지 않은 아이들에게 별거 아니지 않아요.

아이들은 한줄에도 자신의 가치관이 좌우될 수 있을 테니깐요.

사람마다 책을 보는 개인적인 눈은 다 다릅니다.

그만큼 분별력도 생각의 깊이도 다른거겠죠.

동의 라는 단어 아래의 생각하고 판단하는 디테일함이 좋았지만,

나라의 정서적인 부분은 고려해서 함께 보셨으면 좋겠습니다.



▶ 출판사로 부터 도서만 무상으로 제공 받아 쓴 포스팅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