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상위연산 수학 초등 5A 초등 최상위연산 수학
디딤돌 초등수학 연구소 엮음 / 디딤돌 / 2015년 11월
평점 :
구판절판


이 글에는 스포일러가 포함되어 있습니다.



매일 무언가를 꾸준히 한다는 건 생각보다 힘들어요.

일년도 아닌 몇년을 연속 하는 경험....어른이 되서 습관 들이기란......어릴 때보다 더 힘들더라고요.

그래서 되도록 어릴 때 습관 잡아주는 게 좋을 것 같아요.

수학은 특히 연산 부분은 꾸준함이 필요하지요.

지금 몇년째? 초1부터 했으니 벌써 횟수로는 5년째네요.

사실 꾸준함이 이어지지 못하는 경우도 많았지만, 어찌 되었든 올해도 역시 꾸준히 이어가보려합니다.

그래서 시작한 이후 조금 있으면 완북을 향해서 달려갑니다.









확실히 고학년이 되니 두께가 쬠 얆아졌어요.

저희 아들도 동의하더라고요.

그만큼 연산도 중요하지만 교과 내용이 많아진 거겠지요~

어찌 되었든 연산 기본기가 탄탄해야 교과 수학도 잘하는 법이겠죠~



좀 오래 연산을 하다보니, 스스로 알아서 하는 날이 좀 많아집니다.

아침에 일찍 하는 날도 조금씩 많아집니다.

엄마의 마음은 ㅋㅋㅋㅋㅋㅋ 조금 더 많아졌으면 좋겠.......어요...







5학년 연산의 꽃은 바로 통분과 약분이겠죠.

통분의 산을 넘으면 약분의 산을 또 넘어야 합니다.

약분은 덧셈을 다 하고 나면 꼭 기약 분수 형태로 남아야 하는데..자꾸 잊더라고요.

그래서 틀리는 갯수가 많아집니다.

그래서 다시 수정하라고 하면 거의 다 약분을 안해서 ㅠㅠ

이것도 계속 하다보면 나아지겠지 라고 생각하고 있어요.




두자릿수 통분하다가 세자릿수 한꺼번에 하려니 살짝쿵 머리가 아파오는...ㅋㅋㅋㅋ

분모가 백단위가 넘어가면 ㅋㅋ 싫다고 하면서도 또 복잡한 숫자의 통분은 생각보다 잘해갑니다.





이전 수학 연산에서는 틀린 갯수가 거의 없었는데.....

약분에서 우수수 많이 틀리니 연산 풀기 싫은 마음은 한가득이예요.

그래서 속도도 느려지고.그런 날들이 좀 많았습니다.

그럴 때는 양을 줄여서 꾸준히 적응하는 걸로 선택 했어요.

한결 아이가 편안해 하기도 하고 집중도도 높아지더라고요.

다행이도 후반부를 갈수록 틀리는 갯수도 줄어들도 제법 마지막 분수형태도 확인합니다.





늘 연산은 쉬운 것, 빨리 푸는 거라고 생각했는데..

통분이랑 약분이....저희 아들을 힘들게 하네요.

그래도 뒤로 갈수록 잘해주고...칭찬해주니...그 고비를 조금씩 넘어가더니 이제 속도도 제법 나더라고요.




통분 쬠 여유로워졌다고, 어찌 암산으로 하는지..ㅋㅋㅋ

당췌, 엄마는 알 수 없었지만 그래도 줄줄이 쓰는 것보다 더 많이 맞아서 뭐라 할 수 없네요 ㅠ

혹 다시 틀리는 경우는 천천히 통분과정은 쓰기로 했어요.

그래서 어쩌다 그렇게 쓰는 경우도 있었고요.

아이마다 다르지만, 적응을 좀 한다 싶으면 암산으로 많이 하더라고요.

그래서 쓰기를 바랬는데...그건 아이마다 자신이 수학을 푸는 방식이라고 생각해요.

오답률이 많으면 자신의 방법을 바꾸는 걸 권하는 편이예요~

그래도 수학에서 필요한 과정은 쓰기도 하니, 걱정은 안해요~







오늘도 연산 꾸준함을 길러봅니다.

연산을 매 학년 학기마다 잘하기를 바라지만, 하다보면 아이가 힘들어 하는 부분이 늘 생기더라고요.

그럴 때는 최대한 아이가 본인의 방식을 찾을 때까지 기다려주는 편입니다.

천천히 속도가 느리더라도, 적응하고 습관 들이면 곧 잘 스피도도 정확도도 내는 편이라..

연산 역시 아이의 속도에 따라 함께 맞춰가야 겠더라고요.

완북을 향해서 화이팅!!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