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최상위연산 수학 초등 3B ㅣ 초등 최상위연산 수학
디딤돌 초등수학 연구소 엮음 / 디딤돌 / 2015년 12월
평점 :
구판절판
이 글에는 스포일러가 포함되어 있습니다.
2학기 수학의 시작은 최상위연산으로 시작합니다

초등수학의 시작은 연산이라고 할 수 있지요.
그래서 저학년에서는 연산 문제집이 가장 신경이 쓰인답니다.
이런 저런 문제집은 사실 많이 해봤는데...
지금까지 쭈욱 이어서 해 가는 건 최상위연산이 되었네요.
교과의 내용과도 맞아야 하고 아들이 지루하지 않게
연산을 하기 바라는 마음으로 더 꼼꼼히 봤던 연산문제집.
결론은 지금 초3이 될때까지 쭈욱 함께 하게 되는 건 최상위연산 이 되었네요.

이제 한달 남짓 지나면 여름방학이 시작이 되고 이제 1학기도 마무리 되는 시점.
우리 엄마들은 아이들의 2학기 수학을 걱정하게 되지요.
개인적으로 선행보다는 예습차원에서 방학이 다가오는 시점으로 2학기 수학을 시작하게 됩니다.
그 수학의 시작은 연산이라고 할 수 있지요.
이번의 시작도 역시 디딤돌 최상위연산과 함께 합니다.


초3이 되니,
확실히 연산이 이제 1,2학년 수준을 벗어나 조금씩 복잡해지기 시작하네요.
곱셉과 그리고 본격적으로 시작되는 나눗셈.
달달 외웠던 곱셈이 나눗셈으로 발휘되는 학년이 되는 것 같습니다.
곱셉도 끽~ 해야 두자리 x 한자리에서 본격적으로 세자리이상이 되는 곱셈이 수두룩~

자, 이제 본격적으로 아들의 초등수학 연산을 시작해봅니다.
첫장부터 허걱!!!!
두자리수 x 두자리수
이제 본격적인 실수가 나올 듯한 느낌적인 느낌~
저희 아들 처음엔 머뭇거렸지만 이왕 시작했으니
쿨하게 매일 일정하게 꾸준하기 하기로 약속해봅니다.

두둥!!! 시작한 첫날~ ㅋㅋㅋㅋ
처음에는 시작은 밝았으나 하다 보니 조금씩 짜증을 내기 시작한 하는 아들.
수학 좋아하는 아들 어디 갔나?
사실 전 속으로 어느정도 예상을 했지요. 아들님이 자릿수가 많아진 곱셈을 하려면 어느정도 시간이 필요하구나 싶었지요.
아니나 다를까 ㅋㅋㅋㅋㅋㅋㅋㅋ

결론은 채점하고 나니 딱 드러 나더라고요.
동그라미 사이로 보이는 틀리는 갯수들.
처음에는 틀리고 그 다음 다시 스스로 다시 고치니 실수가 많다는 걸 스스로 알게 되더라고요.
몰라서 틀리기 보다는 간과하거나 대충 ㅋㅋㅋ 생각하는 전형적인 대충 모드 였지요.

그래서 그 다음날 부터는 다 맞는 것보다는 꼼꼼하게 천천히 풀기 먼저 시작했어요.
틀려도 다시 스스로 고쳐서 알아가는 되기에..
꼼꼼히 문제 푸는 모습, 집중하는 모습을 우선 순위로 두었답니다.

물론, 틀린 문제가 나오긴 했지만 차츰 갯수가 많이 줄더라고요.
풀다보니 본인 두번 풀어서 맞추는 경우도 있었지만..
지금은 아들에게 중요한 건 과정이기에..저도 차분히 기다려주기로 했답니다.
그렇게 며칠이 지나니 다 맞는 날도 오고 그리고 어쩌다 한개 틀리는 결과가 나왔답니다.

요 최근에는 이렇게 이쁘게 다 맞는 결과도 많이 보여주고 있습니다.
아들도 새학기 적응하고 새로운 부분을 알아가는 과정이
역시나 연산에서도 필요함을 느꼈습니다.
과정이 지나고 나니 이제 아들의 수학의 흥미도도 올라가고
앞으로 2학기도 최상위연산으로 실력이 쑥쑥 올라갈 것 같습니다.
남은 초등수학도 화이팅해야 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