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수영을 위하여 - 우리 인문학의 자긍심
강신주 지음 / 천년의상상 / 2012년 4월
평점 :
절판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아우구스티누스 - 격변의 시대, 영혼의 치유와 참된 행복을 찾아 나선 영원한 구도자
피터 브라운 지음, 정기문 옮김 / 새물결 / 2012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세계사의 구조 가라타니 고진 컬렉션 10
가라타니 고진 지음, 조영일 옮김 / 비(도서출판b) / 2012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그럼에도 사람들은 공동체나 가족에 종속되기보다도 노동력을 팔면서 사는 쪽을 좋아한다.'(276)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그는 대화를 좋아했다. 생각을 굴리고 키우는 데 도움이 되기 때문이었다. 그러나 그 내용을 누가 적어놓으리라는 것은 생각하지 못했다. 그는 자기 말이 하나의 규칙처럼 되는 것도, 자기 자신이 불멸의 존재가 되는 것도 바라지 않았다. 인간적이고자 한 사람이었기 때문이다.(29)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니체, 디오니소스적 긍정의 철학
백승영 지음 / 책세상 / 2005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인간은 자기 반성과 부정을 통해 성찰되고 극복된다. 자기 반성의 잣대는 타인이 될 수도, 절대자가 될 수도 있지만... 니체는 자기 부정의 뼈 아픔을 `경멸`이란 단어로 표현하고 있다. 이 표현은 반성과 성찰이 그만큼 쉽지 않다는 사실을 내포하고 있다. 또한 타인의 값싼 `공감`이 끼어들 자리도 없다.
`경멸`이라는 냉소적인 단어가 위대한 자의`인간적인 너무도 인간적인` 선언으로 들린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