창조적인 아이디어를 찾아라! - 슘페터가 들려주는 기업가 정신 이야기 경제학자가 들려주는 경제이야기 14
이영직 지음, 황기홍 그림 / 자음과모음 / 2012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서영이 4학년 여름방학때 한국은행 경제교실도 다녀오고, 경제교실 투어도 다녀오고 여러 경제에 관한 수업을 많이 들었다. 하지만 아직은 어린관계로 경제교실이나 체험들이 아직은 경제의 기본적인 부분에서 머무는 내용이 많았다. 그 기본적인 부분을 나의 경제 활동에 어떻게 적용을 시키느냐 하는 것들이 대부분이었다.

 

사실 자음과 모음사의 책을 읽기전에 생각했었던 것은, 책이 너무 어렵게 나오지 않았을까 하는 생각을 했었다. 그리고 슘페터의 기업가 정신 이야기를 접했다. 책의 표지에 수능과 논술연계라는 말이 나를 더 움츠러 들게 만들었었다.

 

그런데 맨 앞의 내용의 색다른 시작이 나의 흥미를 돋구었다.  

나특종기자와 슘페터 선생님과의 밀착인터뷰로 책은 시작되었다.

아래 그림은 슘페터 선생님의 창조적 파괴를 그림으로 설명 해 주고 있다. 새로운 것이 나타나 옛것을 몰아내는 순환과정을 말하는 것이다. 이러한 그림과 재미있는 인터뷰내용이 귀에 쏙쏙 들어온다.

 

 

경제의 주체는 가계,기업,정부 셋으로 나눌 수 있는데 우리나라처럼 무역의존도가 높은 나라는 외국도 경제의 한 주체가 될수 있다. 또한 만화를 통하여서도 경제행위에 관한 것, 경제행위 중 재화냐 용역이냐에 관한 것들도 쉽게 알아 들을수 있다. 사실 나도 이 책을 통하여서 경제에 대해 더 많은 기본적인 것을 알게 되었다. 어른들의 경제책은 너무 어렵다. 그래서 접근하기 쉽지 않고, 전문가가 아니고서는 쉽게 읽혀지지도 않는다. 하지만 슘페터의 기업가 정신을 통해 경제의 정의, 기업가 정신, 또한 창조적 파괴 에 대한 것을 상세히 알아 볼수 있었다.  

 

 

 

 

기업은 이윤 추구 하기 때문에 새로운 것을 계속 개발 해 나가야 하고 소비자들의 욕구에 충족을 시켜야 한다.  그렇기에 나온 것이 창조적 파괴, 즉 혁신이다. 새로운 것을 끊임 없이 추구한다.

그렇기에 끊임없이 새로운 것을 발견해 나가는 기업만이 살아 남는 것이다.

그렇기에, 지금까지 삼성이나, 애플 같은 기업들이 서로 경쟁 구도에 있는 것일 것이다.

 

그것에는 아래의 수평적 사고방식도 한 몫을 한다. 문제를 안에서 바깥으로 보는 것이 아니라

바깥에서 안으로 보는것. 즉 역발상 이라고 할 수 있겠다.

 

그렇기에 그렇게 살아남은 기업들과 도태되는 기업들로 나뉘는 것일 것이다.

 

 

 

 

이 책을 읽으면서 한가지 느낀 점은.. 그래서 기업에서 지금 시대에 필요로 하는 인재가 융합적 사고를 가진 인재가 아닐까 생각한다. 그리고 무엇보다 순수과학을 하는 공대생들이 더 많이 배출 되어야 할 것이다. 앞으로는 창의적 사고력이 더 필요로 하는 시대가 되어 갈 것이기 때문이다.

 

 

 

창의력 사고력의 힘. 그것은 한 개인 뿐 아니라 기업, 나라에도 영향을 미치는 것일 것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