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이의 사회성 - 세상과 잘 어울리고 어디서나 환영받는 아이로 키우는 양육법
이영애 지음 / 지식채널 / 2012년 7월
평점 :
구판절판


요즈음에는 부모교육에 대한 도서들이 많이 나와 있다. 아이가 이제 4학년인 엄마로서 여러 많은 교육서 중에서 고학년만을 대상으로 하는 도서들을 고르기는 쉽지 않다. 이런 기회에 "아이의 사회성"이라는 도서를 접하게 되었다. 나는 1학년때부터 학교라는 사회에 들어설때부터 사회성을 굉장히 중요하게 생각했던 사람중 한명이었다. 내가 사회에 들어와 보니, 사람을 만나는 것, 그리고 그 사람을 만나 행동하고 헤어지기는 과정들이 제일 중요한 것들이었다. 아마도 어른들 대부분이 지금도 그렇겠지만 사람으로 인해서 제일 많은 어려움을 겪었으리라. 그러한 어려움을 내 아이는 조금 수월하게 겪을 수는 없을까 하는 바람으로 이 책을 읽게 되었다.

 

그런데 이 책을 읽고 나서 보니 아이의 사회성도 또한 부모의 양육태도, 부모에게서 받은 긍정적인 생각들, 생활태도들 그리고 그 아이의 선천적인 기질들이 아이의 사회성에 큰 영향을 미치는 것을 알게 되었다. 예전부터 어른들이 말씀하시던 "집에서 새던 바가지 밖에서도 안새랴" 와 같은 속담들을 생각하게 되었다.

 

아이의 사회성에서는 영아기, 유아기, 아동기의 사회성에 대해 먼저 설명해 주고 있다. 그리고  사회성을 키워주는 다양한 것들에 대해 안내 해 주고 있다. 기질,애착,정서지능,자기조절,자존감,도덕성..

 

나는 아이의 사회성을 키워주는 것들 중에서 제일 중요한 것이 자존감이라고 생각한다.

자존감이란 스스로를 존중하는 힘이다.

학교라는 사회에서 아이들에게 왕따를 당해도, 그리고 낯선 곳에 가서 자신이 혼자라고 생각이 들어도, 시험문제를 풀다가 어려운 문제가 나와도, 나는 할수 있다. 나는 가족들에게 사랑을 많이 받는 존재이다. 나는 이 세상에 없어서는 안될 존재이다. 라고 생각한다는 외로움도, 어려움도 복잡함도 견딜수 있으리라 생각한다. 그리고 그 자존감은 우리 엄마들이 충분히 키워 줄수 있는 문제이다. 나도 가끔은 울 딸을 야단 칠때 "이러니까 안되지.."라는 말을 쓰며 아이를 혼을 냈던 기억이 있다. 하지만 나도 이 책을 읽은 후로는, 아이에게 칭찬을 많이 해 주려고 노력하며, 될수 있으면 아이의 마음을 위로 해 주려고 노력하고 있다.

 

아이의 사회성을 읽다 보니, 아이의 사회성을 길러 주다 보면, 아이도 나도 행복해 질수 있고 더 나아가 아이의 미래까지도 투명해 질수도 있다는 생각이 들었다. 엄마들이여, 부모가 아이를 교육시킨다고 사회성을 길러준다고만 생각지 말고 엄마인 나도 우리 아이들도 같이 성장해 나간다고 생각한다면 부모 교육이라는 것이 힘들지만은 않을 것이고 옆에 같이 가는 우리 엄마들이 있다는 것을 기억하자. 그리고 더불어 엄마와 아이의 행복을 먼저 생각하자... 아이와 엄마가 행복해지는 그날을 위하여....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