엄마는 아이의 사춘기가 두렵다 - 십대 아이와 이대로 멀어질까 두려운 부모에게
조덕형 지음 / 경향BP / 2015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중2병. 사춘기의 절정에 있는 아이들을 가리키는 말. 무서울 것 없어서 겁없이 행동하는 중학생들을 일컫는다. 이쯤 자라면 이제 더이상 부모의 통제도 먹히질 않는다. 소위 질풍노도의 시작이며, 자아정체성의 혼란이 시작된 것이다.


저자는 다년간 청소년 상담 관련 일을 통해 청소년, 특히 중2 학생들을 많이 접하면서 중2 킬러라는 별명을 얻었을 정도로 중2를 잘 이해한다. 이러한 경험을 토대로 학부모들이 자녀의 사춘기를 이해할 수 있도록 이 책을 쓰게 되었다.

중2 무렵 뇌의 발달 단계는 이성보다는 감정이 우위에 있을 때이다. 이성적 사고보다는 감정적 대응을 하다보니 부모와 잦은 마찰이 생긴다. 사소한 일에도 짜증이 나고 감정 기복도 심하다. 예측불허의 감정때문에 부모도 쉽게 감정의 파도에 휩쓸리니 갈등의 골만 깊어진다.

사춘기를 잘 보낼 수 있도록 돕기 위해서는 미리 대비를 해야 한다. 아이가 이제 홀로서기를 해야 할 시기임을 인정하고, 부모로부터 안정감을 느끼며 성숙한 인격으로 자랄 수 있도록 지원해야 한다. 아이를 위해 절제된 사랑을 통해 부모가 적이 아닌 아군임을 깨닫도록 해줘야 한다.

아이는 부모를 반영하는 거울이라는 말이 있듯이, 아이에게 보이는 문제의 원인 제공자가 부모 자신임을 자각해야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또한 아이는 부모와는 다른 인격체임을 인정하고 받아들여야 한다. 이것은 부모의 역할이다. 왜냐하면 부모가 아이보다 더 성숙하고 경험의 폭도 넓기 때문이다. 

부모 역시 사춘기 아이를 대하면서 감정적 충격에 빠진다. 부모도 아이로 부터 독립해야 할 시기가 된 것이다. 과도하게 아이의 생활에 간섭하지 말고, 빈둥지증후군을 극복하기 위해 자신을 위한 일을 시작해야 한다. 

사춘기. 한 단계 성숙을 위해 모두가 거쳐가는 통과의례. 자녀가 건강한 성인으로 자라갈 수 있도록 부모가 잘 준비해야 한다. 그것은 일관성 있는 태도, 차이의 인정, 공감과 경청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