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떻게 의욕을 끌어낼 것인가 - 컬럼비아대학교 인간성향 대탐구
하이디 그랜트 할버슨.토리 히긴스 지음, 강유리 옮김 / 한국경제신문 / 2014년 5월
평점 :
절판


의욕, 다른 말로는 동기라고도 표현될 수 있을 것이다. 어떠한 일을 하고자 하는 것, 혹은 무엇인가를 얻고자 하는 욕망을 부르는 말일 수도 있다. 사전에서는 무엇을 하고자 하는 적극적인 마음이나 욕망이라 정의하고 있고, 철학에서는 일정한 목표를 향하여 의지가 적극적으로 작용하는 일이라 설명한다. 한 개인의 선택이나 행위의 결정에 미치는 내적 역량을 어떻게 끌어내고 거기에 영향을 미칠 것인가는 비단 심리학 뿐만 아니라 마케팅에서 오랜 시간 연구해 온 주제가 아닐까 생각한다. 개인적으로는 어린 학생들이 학습에 주도적이며 의지적으로 참여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는 아이디어를 찾았으나 대략적인 내용은 마케팅 분야로 많이 치우쳐 있다.

 

이 책은 크게 두 부분으로 이루어져 있다. 하나는 인간의 성향을 둘로 나누고 그것이 어떻게 다른지 설명하는 부분과, 어떻게 의욕을 끌어낼 것인지를 설명하는 부분이다. 단도직입적으로 말하면, 전반적으로 책의 설명이 너무 장황하다. 더 간단하고도 단순하게 설명할 수 있을텐데 비슷한 내용의 이야기를 구구절절 늘어놓고 있다. 결론마저 이야기 하자면, 사람마다 성향이 다르니 각기 성향에 맞는 적합한 방법을 써야 의욕을 끌어낼 수 있다는 것이다.

 

이 책에 따르면, 인간의 성향은 크게 두 가지로 분류된다. 하나는 성취지향형이며, 다른 하나는 안정지향형이다. 성취지향형은 긍정적이며, 도전적이다. 반면 안정지향형은 부정적이며, 보수적이다. 성취형은 무엇인가를 획득하고자 하는 열망이 강하며, 안정형은 손실을 막고자 고민한다. 그러나 상황에 따라 나타나는 성향은 다를 수 있다. 그러한 성향에 맞추어 적절하게 동기부여를 할 필요가 있는 것이다. 의욕을 끌어내는 일을 한 마디로 요약하면 동기적합성이다. 동기 적합성이란 사람들이 원하는 것과 손에 넣는 것을 일치시키기만 하면 되는 게 아니라 원하는 것과 그걸 손에 넣는 방법, 즉 목표에 도달하는 방식까지 일치시키는 것이다. 딱히 무어라 설명하기 어려울 수 있지만, 쉽게 말하자면 사람들이 옳다고 느끼는 것이다. 사람들은 옳다고 느낄 때 쉽게 설득되기 때문이다.

 

동기부여, 의욕고취를 위한 방법론에 초점 맞춰지길 기대했으나 많이 벗어나 있어 아쉽다. 인간 성향에 대한 대탐구라는 부제처럼, 인간을 두 가지 성향으로 이해하고, 성향에 맞는 적합한프레임과 말로 접근하다면 의욕을 끌어낼 수 있다는 총론적 이해로 만족해야 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