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쾌한 혁명을 작당하는 공동체 가이드북 - 행복은 타인으로부터 온다!
세실 앤드류스 지음, 강정임 옮김 / 한빛비즈 / 2013년 10월
평점 :
절판


책 제목이 독특하면서도 인상적이다. 유쾌한 혁명을 ‘작당’하는 공동체라니, 뭔가 궁금하다. 혁명이라 하면 왠지 장엄하며 무거운 느낌이나 ‘유쾌한’이라는 형용사가 붙어 모순되어 보이기도 하다. 행복은 타인에게서 온다고 또 엉뚱해 보이는 부제도 뒤따른다. 모든 것의 궁극적인 목적은 행복이다. 이 책은 행복하기 위한 방법에 대한 논의를 펼치는데, 제목에 이미 모든 키워드를 담고 있다.

 

저자는 행복을 구성하는 4가지 요소로 관계, 소명, 유희, 통제를 꼽는다. 제목에서는 다른 말로 이것들을 표현하고 있는 듯 하다. ‘유쾌한’은 3번째 요소인 유희를 의미하며, ‘혁명을 작당’하는 것은 두 번째 요소인 소명을 담고 있고, ‘공동체’는 첫 번째 요소인 관계를, ‘가이드북’은 마지막 요소인 통제를 반영하고 있는 것 같다. 물론 내 나름의 해석이지만 말이다.

 

각각의 요소가 의미하는 바를 잠깐 더 살펴보면, 관계는 다른 사람과 맺는 사회적 관계를 의미한다. 소명은 꼭 직업이 아니더라도 의미있고 목적을 부여하는 일을 말하고, 유희는 일상 생활에서의 즐거움과 기쁨을 말하고, 통제는 기본적인 요구를 충족하기 위해 능력과 기회를 갖는 것을 의미한다. 이러한 4가지 요소가 행복을 구성한다고 주장한다.

 

전반적으로 저자가 강조하는 것은 소통을 위한 대화이다. 존 듀이의 “민주주의는 대화에서 시작된다”라는 말을 여러 차례 인용하면서 관계 맺고 소통하는 방법으로써의 대화에 대해 많은 지면을 할애하여 이야기하고 있다. 그리고 공동체를 구성하여 협력하는 것이 장기적인 유익과 행복에 더 많이 기여한다고 말한다. 공동체를 구성하여 대화할 수 있는 방법으로 스터디 서클을 제안하며, 스터디 서클을 어떤 식으로 운영할 수 있는지에 대한 것까지 자세히 말하고 있다.

 

좋은 내용에 비해 책을 읽는 동안 다소 산만하다는 인상을 받았다. 저자의 독특한 문체인지, 아니면 번역상의 문제인지는 알 수 없으나 장황하고 집중력 있지 않아서 좀 불편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