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불평불만 영문법 - 초보의 심정을 모르는 기존 영문법 책들에 대한 불만 46가지
장지현 지음 / 성안당 / 2013년 6월
평점 :
책을 덮으며 실망과 아쉬움이 남는다. 영어를 팔아 입에 풀칠하고 있는 입장에서 초보 고객들이 느끼는 어려움이 무엇인지 궁금했기에 기꺼이 이 책을 펼쳐 들었다. 초보의 입장을 대변한다고 하였지만 이미 상당 수준의 실력을 갖추고 가르치며 서술하고 있어서 크게 와 닿지 못한 감이 있다. 그리고 그냥 영문법 학습에 대한 불평불만을 제기하고 싶은 것인지 아니면 새로운 관점의 영문법 책을 표방하는 것인지 모호했다. 오히려 설명이 장황하게 늘어져서 더 어려운 느낌이 들기도 했고, 파편적으로 내용이 주어지다보니 정리가 되지도 않고, 책을 쓸 정도로 충분히 연구했다는 느낌이 들지 않았다. 간간히 문법적 실수(주로 관사의 사용에서 이긴 했지만)들도 발견되기도 했다. 책에 사용되는 예문과 설명 정도는 전문가(또는 원어민)에게 감수 받았더라면 하는 아쉬움이 있다.
사실 이 책을 읽으며 기대했던 바는 초보자의 입장에서 혹은 그간의 영어 공부를 하면서 어려움을 겪었던 부분들은 이러이러 하며 어떠한 점 때문에 어려움을 겪었고 이것은 이래저래하면 쉽게 이해하고 해결할 수 있을 것 같다 뭐 이런 식의 전개를 기대했었다. 어느 정도 이런 부분도 있으나 기존 영문법 체계나 설명 방법에 대한 반동 성격이 좀 더 짙어 보인다. 그래도 몇몇 부분에서는 ‘아하, 이런 식으로 설명하면 좀 더 쉽게 이해할 수도 있겠구나’ 싶은 내용도 있었다. 그리고 좀 더 실재적인 예문을 활용하는 것도 자주 언급된 내용이다. 평소 사용하지 않는 말 혹은 내용은 영어로도 표현할 일이 없다는 것이다.
우리나라 영문법 교육이 안고 있는 가장 큰 문제중 하나는 문제 풀이를 위한 교육이라는 점일 것이다. 그러다 보니 실제 생활에서 사용되는 것 보다는 까다롭고 복잡한 규칙들을 문제로 만들어 내는 경우들이 많다. 그리고 용어에서 일제의 잔재가 많다보니 용어의 의미를 정확히 이해하는 것부터 어렵다. 그리고 전체 영역을 다 살피다 보니 별로 많이 사용되지 않는 부분도 다 훑어봐야 하는 상황이다.
변화의 추세는 엉뚱하게 말하기 듣기를 강조하며 문법을 경안시하는 쪽으로 흘러갔다. 하지만 우리 현실에서 문법 교육은 말하기 듣기보다 훨씬 중요하다. 구어(spoken English)를 사용할 기회보다 문어(written English)를 사용할 기회가 훨씬 더 많기 때문이다. 글로 쓰인 문장을 정확하게 이해하고 정보를 습득하는 능력이 오히려 더 중요한데, 엉뚱하게 사용할 일이 많지 않은 말하기 듣기에 힘을 빼고 있다. 어쨌든, 중요한 것은 읽기 등을 통해 자주 사용되는 기본적인 문법들을 중심으로 학습하며, 특히 동사를 중심으로 하는 어법(usage)을 학습할 필요가 있다. 이것은 문법 지식으로 채울 수 없는, 실제적인 부분이다.
이 책은 영어 전문가들에게 시사하는 바가 있다고 본다. 문법 서적을 만들때 장황하게 모든 것을 포괄하려 하기 보다는 실제적인 사용을 위해 좀 더 쉽게 설명해 줄 필요가 있다. 그리고 어떤 부분들에서 특히 학습자들이 어려움을 겪고 있는지 파악해서, 좀 더 가려운 부분들을 긁어 주려는 노력도 뒤따라야 할 것 같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