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권력의 언어 - 주도권 게임에서 어떻게 승리할 것인가
마티아스 뇔케 지음, 장혜경 옮김 / 갈매나무 / 2013년 1월
평점 :
구판절판
권력의 언어. 개인적으로 책 제목이 내용과 잘 어울리지 않아 보인다. 원서의 제목은 “Power and Initiative(권력과 주도권)”인데, 딱 읽었을 때 권력의 언어는 힘 있는 자들의 언어같은 뉘앙스가 살짝 느껴진다. 물론 책의 전반적 내용에서 언어가 갖는 힘과 특히 언어의 선언적 힘에 대해서 다루고 있긴 하다. 그런 점에서 말의 힘(물론 이런 제목의 책들이 이미 있어서 이겠지만)이란 의미가 담기는 것이 제목으로 적절하지 않을까 싶다는 생각이 든다. 뭐 임팩트 있는 걸로는 권력의 언어가 더 낫겠지만 서도 말이다^^. 네이밍한 사람도 이러한 의미를 전달하려 한 것 같긴 하다.
읽어나가는 동안 얼마나 많은 사람들이 이러한 생각들을 하면서 말을 할까 싶은 생각이 들었다. 이렇게 계산해 가면서 말을 하려면 정말 피곤하겠다는 생각이 들었다. 물론 상당 부분의 주장은 거의 본능적으로 우리가 구사하는 방법들이기도 하다. 그럼에도 대화를 자기가 원하는 방향으로 이끌어 가거나 자신이 원하는 바를 얻어내기 위한 방법으로서 상당히 효과적이거나 유효한 것들이 많이 소개되어 있다. 잘 활용하면 실제적인 결과를 얻어낼 만하다.
책은 크게 3부분으로 구성되어 있다. 첫째는 흐름을 자신에게 유리하게 끌어오는 방법, 둘째는 상대의 마음을 얻는 방법, 마지막으로 강한 영향력을 행사하는 방법으로 나눠져 있다. 그리고 각각의 토픽에 대해서 구체적인 방법들을 하나하나 다루고 있다.
전반적으로 책의 느낌은 화술을 다루는 책이나, 좀 더 이론적으로 접근하면 커뮤니케이션 이론서(대중적으로 쓰인) 정도의 느낌이다. 대화를 하는 기술, 특히 상대를 설득시키거나 내 의견을 관철시키는 방법 등은 사회 생활에서, 혹은 직장 생활에서 꽤 유효한 면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