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버드 회복탄력성 수업 - 우울, 불안, 번아웃, 스트레스에 무너지지 않는 멘탈 관리 프로젝트
게일 가젤 지음, 손현선 옮김 / 현대지성 / 2021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정도의 차이는 있겠지만 역경과 시련은 누구에게나 있다. 인생의 난관과 실패를 경험한 뒤의 반응은 사람마다 다르다. 어떤 사람은 쓰라린 실패의 경험마저도 교훈으로 삼고 다시 도전하고 재기하는가 하면, 어떤 사람은 작은 시련에도 쉽게 무너지고 포기하기도 한다. 사람마다 왜 이런 차이가 생기는걸까. 그리고 어떻게 하면 전자처럼 패배 후에도 오뚝이처럼 다시 일어설 힘을 가질 수 있을까. 이것을 설명하는 개념이 바로 회복탄력성이다.

 

회복탄력성이란 크고 작은 다양한 역경과 시련과 실패에 대한 인식을 도약의 발판으로 삼아 더 높이 뛰어 오르는 마음의 근력을 의미한다. 고무공을 바닥에 던졌을 때 튕겨져 오르는 것처럼, 고무줄을 잡아당겨 늘였다가 놓으면 다시 원래대로 돌아가려는 것처럼 어려운 시기를 겪어 깊이 다운된 마음을 다시 원래대로 회복시켜 내는 마음의 힘이 바로 회복탄력성이다. 저자는 이를 우물에 비유한다. 물을 길러내어도 다시 채워지는 우물처럼, 패배의 쓴 감정을 소모해도 다시 긍정의 마음으로 회복해내는 힘을 의미한다.

 

이 책은 8개의 장으로 구성되어 있고, 회복탄력성을 구성하는 6개의 자질을 하나씩 설명해 준다. 여섯 개의 자질은 대인관계, 유연성, 끈기, 자기조절, 긍정성, 자기돌봄이다. 각 장은 각 자질을 정의하고, 어떻게 하면 회복탄력성의 자질을 함양하고 키워낼 수 있는지 설명한다. 연구하는 학자마다 조금씩 견해가 다르겠지만, 이 중에서도 특히 유연성, 끈기, 자기조절, 긍정성이 중요한 것 같다. 이것은 어떠한 상황이 와도 그것이 내 존재의 중심을 흔들 수 없다는 확고한 믿음과 자신의 내면을 돌아보며 자신에게 좀 더 집중하는 것, 그리고 다시 일어서고 다시 도전할 수 있는 용기와 관련이 있기 때문이다.

 

코로나 시대로 접어든 후, 부쩍 젊은 층이 감정적으로 무너지는 경우들을 많이 듣게 되는 듯 하다. 코로나 블루라는 말도 생겨났고, 정서적으로 나약해진 소위 유리멘탈이라는 말도 자주 들린다. 우리 사회는 스트레스 지수가 매우 높고, 감정적으로 압박하는 경우가 많은데, 공동체 차원에서 구성원들의 회복탄력성을 높이기 위한 노력이 더 필요하다고 생각한다.

 

​​​​​​​<출판사로부터 도서를 제공받아 작성한 리뷰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