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무적의 글쓰기 - 일상에 당장 활용할 수 있는 만만한 글쓰기 요령 40
센다 다쿠야 지음, 이지현 옮김 / 책밥 / 2020년 8월
평점 :
일본작가들의 작명 특징이 있다. 주로 ‘~하는 00가지 방법’처럼 숫자를 활용한다. 여기서 도드라지는 점이 우리는 보통 기억하기 쉽다는 점을 강조하기 위해 3가지 방법이나, 7가지 비법 등으로 하는 경우가 많지만, 일본작가들은 101가지 방법, 72가지 방법 등 가짓수가 엄청 많은 편이다. 이 책도 그런 특성을 드러내며, 일상에 당장 활용할 수 있는 만만한 글스기 요령 40 이라는 부제를 달고 있다.
이 책은 제목에서 알 수 있듯이 글쓰기에 관한 책이다. 실용적 글쓰기를 다루며, 당장 활용 가능한 것을 목표로 한다. 블로그에 글을 쓰는 이에서부터 전문 작가에 이르기 까지를 독자층으로 염두에 둔다. 저자가 책 전반에서 강조하듯 짧은 문장으로, 짧은 글을 써 내려가고 있다.
이 책은 크게 다섯 장으로 구성되어 있다. 첫 장은 글쓰기의 일반론으로 짧은 문장을 쓸 것, 기승전결에 얽매이지 말 것, 쉬운 표현을 사용할 것 등을 조언한다. 두 번째 장은 비즈니스 글쓰기를 다루고 있는데, 채택되는 기획서를 쓰기 위한 노하우를 소개한다. 셋째 장은 사적인 글쓰기에 관한 것으로 모두에게 사랑받으려고 노력하지 말고 개성을 드러내도록 격려한다. 마지막 두 장은 프로 작가들에게 주는 조언으로 글쓰기 준비와 메커니즘을 다루고 있다.
시간이 없는데, 내용이 궁금하다면 목차에서 소제목 40개를 읽어보면 저자가 말하고자 하는 바가 무엇인지 쉬 눈치챌 수 있을 것이다. 40가지 중에서 내게 인상적이었던 3가지만 소개해 보고자 한다. 먼저는 비즈니시 세계에서 좋은 글이란 알기 쉬운 글이라는 꼭지이다. 현학적 허세로 가득찬 글이 아닌, 알기 쉬고 이해하기 쉬운 글이 좋은 글이라고 말한다. 그러한 글을 쓰는 3가지 요령은 다음과 같다.
1. 문장의 길이를 짧게 가능한 짧게 한다.
2. 한 페이지에 문자수를 적게 한다.
3. 머릿속에 쉽게 떠오르는 문장을 구사한다.
두 번째는 천번 쓰기에 관한 꼭지이다. 좋은 글을 쓰기 위한 비결로 구양수는 다독(多讀), 다작(多作), 다상량(多商量)을 들었다. ‘질’을 얻기 위해 ‘양’을 쏟아 부어야 한다는 진리를 다시 한번 상기시켜 준다. 천번을 쓰기 위해서는 조금씩, 천천히 지속해야 한다. 밥을 먹고, 이를 닦는 것처럼 습관을 만들어야 한다.
세 번째는 체력에 따라 글의 질이 달라진다는 꼭지이다. 글과 체력이 무슨 상관일까 의아할 수 있지만, 조금만 생각해 보면 알아차릴 수 있다. 글을 쓴다는 것은 많은 에너지를 소모하는 작업이다. 꾸준히 써내려면 강인한 체력을 먼저 준비해야 한다.
어떤 주제의 글이든, 어디에 쓰든, 누구를 독자로 삼든 중요한 것은 당장 한 줄이라도 쓰는 것이다.
<출판사로부터 도서를 제공받아 작성한 리뷰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