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w To Live & Work 4 : 회복탄력성 - 실패와 위기에도 무너지지 않는 항체 만들기 How To Live & Work 4
다이앤 L. 쿠투 지음, 김수미 옮김 / 21세기북스 / 2018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우리는 종종 실수하고 실패한다. 실패에 대한 반응은 사람마다, 기질마다 다르다. 어떤 사람은 작은 실수에도 쉽게 무너져 내리는가 하면, 어떤 사람은 상상할 수 없을 만큼 엄청난 실패를 하고서도 끝내 극복해 내기도 한다. 무엇이 이런 차이를 만들어 낼까? 이러한 질문에 대한 대답으로 회복탄력성이라는 개념이 제시되고 있다. 회복탄력성에 대한 연구는 40여 년 전 미네소타 대학교의 노먼 가머지 교수가 처음 연구를 하기 시작해서, 오늘에 이르고 있다.

 

회복탄력성이란 크고 작은 다양한 역경과 시련과 실패를 오히려 도약의 발판으로 삼아 더 높이 튀어 오르는 마음의 근력이라고 위키백과에 정의되어 있다. 이 책의 부제처럼 실패와 위기에도 무너지지 않고 다시 일어나는 비인지적 능력을 의미한다. 회복탄력성을 구성하는 요소는 유머감각, 애착 관계 형성 능력, 내적 심리공간 확보 능력 등이 꼽힌다. 또 회복탄력성이 높은 사람들의 특징은 냉철한 현실 직시, 가치에 대한 확고한 신념, 즉흥적인 대처 능력을 지니고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고 한다.

 

무한 경쟁 시대라 해도 지나치지 않을 현 시대를 살아가는 우리에게 필요한 자질 중 하나가 회복탄력성이 아닐까 싶다. 학교에서 순위 경쟁을 해서, 대학을 가고, 좁은 취업의 문을 뚫기 위해 경쟁을 해야 하고, 입사하면 또 승진을 위해 경쟁을 한다. 이 과정에서 크고 작은 패배와 실패를 경험할 수 밖에 없다. 그때마다 좌절하고, 절망하고, 포기할 순 없지 않은가. 이 책에서는 회복탄력성을 기르기 위한 방법을 제시하고 있다. 회복탄력성을 기르기 위해서는 먼저 자기 자신과 대화하고, 둘째, 자신에게 인지적 중재를 해주고, 패배주의적 사고를 극복하고, 마지막으로 긍정적인 사고를 하는 것이다. , 뇌를 훈련 시키는 방법과 마음을 챙기는 훈련법도 간략히 소개하고 있다.

 

이 책은 6편의 짧은 논문, 혹은 칼럼 형식의 글을 담고 있다. 전체 분량도 130여 페이지로 많지 않아서 쉽게 읽을 수 있다. 그래서 입문서나 맛보기 정도의 책이라고 생각된다. 이 책을 읽고 회복탄력성에 관심이 생긴다면 더 두꺼운 책을 읽으면 좋겠다. 6편의 글은 심리학에 국한되지 않고, 경영학 분야의 회복탄력성도 다룬다. 기업 경영의 세계 역시 치열한 경쟁 속에서 끊임없이 승자와 패자가 갈리는 전쟁터이기 때문이다.

 

본문 중 자기 자비라고 번역된 부분이 있는데, 일러두기에서 self-compassion을 자기 자비로 통일해서 번역했다고 되어 있는데, 흐름에서 의미가 와 닿지 않는다. 기존에 통용되는 자기 연민이라는 표현이 있는데 왜 굳이 다르게 번역하는지 모르겠다. 이 책에서만 별도로 정의하여 번역한 용어들이 있는데, 가능하면 학계에서 정의된 용어로 옮겨주면 차후 다른 책을 더 읽을 때 도움이 되리라 생각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