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How To Live & Work 4 : 회복탄력성 - 실패와 위기에도 무너지지 않는 항체 만들기 ㅣ How To Live & Work 4
다이앤 L. 쿠투 지음, 김수미 옮김 / 21세기북스 / 2018년 10월
평점 :
우리는 종종 실수하고 실패한다. 실패에 대한 반응은 사람마다, 기질마다 다르다. 어떤 사람은 작은 실수에도 쉽게 무너져 내리는가 하면, 어떤 사람은 상상할 수 없을 만큼 엄청난 실패를 하고서도 끝내 극복해 내기도 한다. 무엇이 이런 차이를 만들어 낼까? 이러한 질문에 대한 대답으로 회복탄력성이라는 개념이 제시되고 있다. 회복탄력성에 대한 연구는 40여 년 전 미네소타 대학교의 노먼 가머지 교수가 처음 연구를 하기 시작해서, 오늘에 이르고 있다.
회복탄력성이란 크고 작은 다양한 역경과 시련과 실패를 오히려 도약의 발판으로 삼아 더 높이 튀어 오르는 마음의 근력이라고 위키백과에 정의되어 있다. 이 책의 부제처럼 실패와 위기에도 무너지지 않고 다시 일어나는 비인지적 능력을 의미한다. 회복탄력성을 구성하는 요소는 유머감각, 애착 관계 형성 능력, 내적 심리공간 확보 능력 등이 꼽힌다. 또 회복탄력성이 높은 사람들의 특징은 냉철한 현실 직시, 가치에 대한 확고한 신념, 즉흥적인 대처 능력을 지니고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고 한다.
무한 경쟁 시대라 해도 지나치지 않을 현 시대를 살아가는 우리에게 필요한 자질 중 하나가 회복탄력성이 아닐까 싶다. 학교에서 순위 경쟁을 해서, 대학을 가고, 좁은 취업의 문을 뚫기 위해 경쟁을 해야 하고, 입사하면 또 승진을 위해 경쟁을 한다. 이 과정에서 크고 작은 패배와 실패를 경험할 수 밖에 없다. 그때마다 좌절하고, 절망하고, 포기할 순 없지 않은가. 이 책에서는 회복탄력성을 기르기 위한 방법을 제시하고 있다. 회복탄력성을 기르기 위해서는 먼저 자기 자신과 대화하고, 둘째, 자신에게 인지적 중재를 해주고, 패배주의적 사고를 극복하고, 마지막으로 긍정적인 사고를 하는 것이다. 또, 뇌를 훈련 시키는 방법과 마음을 챙기는 훈련법도 간략히 소개하고 있다.
이 책은 6편의 짧은 논문, 혹은 칼럼 형식의 글을 담고 있다. 전체 분량도 130여 페이지로 많지 않아서 쉽게 읽을 수 있다. 그래서 입문서나 맛보기 정도의 책이라고 생각된다. 이 책을 읽고 회복탄력성에 관심이 생긴다면 더 두꺼운 책을 읽으면 좋겠다. 6편의 글은 심리학에 국한되지 않고, 경영학 분야의 회복탄력성도 다룬다. 기업 경영의 세계 역시 치열한 경쟁 속에서 끊임없이 승자와 패자가 갈리는 전쟁터이기 때문이다.
본문 중 ‘자기 자비’라고 번역된 부분이 있는데, 일러두기에서 self-compassion을 자기 자비로 통일해서 번역했다고 되어 있는데, 흐름에서 의미가 와 닿지 않는다. 기존에 통용되는 ‘자기 연민’이라는 표현이 있는데 왜 굳이 다르게 번역하는지 모르겠다. 이 책에서만 별도로 정의하여 번역한 용어들이 있는데, 가능하면 학계에서 정의된 용어로 옮겨주면 차후 다른 책을 더 읽을 때 도움이 되리라 생각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