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당신이 허락한다면 나는 이 말 하고 싶어요 - 김제동의 헌법 독후감
김제동 지음 / 나무의마음 / 2018년 9월
평점 :
헌법을 소설 읽듯이 읽는다니. 지금까지 살아오면서 법전이라는 것을 본 적도 없는 사람이 태반일텐데, 그것을 읽는다는 생각을 해 본적도 없이 살아온 내게 소설처럼, 때로는 연애편지처럼 읽었다는 김제동의 말은 어느 정도 충격이었다. 법을 전공한 가족이 있고, 학부때 법학과를 기웃거렸던 적이 있었음에도, 심지어 헌법총론 수업을 듣고 A+를 받았음에도 정작 헌법전을 읽어보진 못했다는 것이 아이러니하다. 당시 수업에서는 지도교수가 지정한 헌법총론 서적을 공부했을 뿐이었다. 그 책은 헌법의 조문에 대한 여러 학자들의 견해를 시시콜콜 늘어놓았기에, 금새 질릴 수 밖에 없었기에, 감히 헌법을 읽어야겠다는 섣부른 생각을 해볼 수 없었나 보다.
이 책은 부제처럼 방송인 김제동이 헌법을 읽고 느낀 감상을 편하게 적은 독후감이다. 헌법 독후감이라니, 아마 세계에 유례가 없을 일일 것이다. 법전 독후감이라니. 김제동 특유의 상대를 편하게 하는 말투 그대로 글로 옮겨두어서 읽기 쉽다. 그리고 간간이 그의 따뜻한 유머도 섞여 있어서 재미있기도 하다. 또 귀여운 일러스트도 담겨 있어서 무거울 것 같은 헌법을 가볍게 접할 수 있다.
나는 개인적으로 김제동이라는 사람을 좋아한다. 그가 말하는 가치에 대해 공감하고, 또 그가 그렇게 살려고 노력하는 사람이라는 것과 그의 말에 진심이 담겨 있다는 것을 느낄 수 있어서이다. 그래서 방송이나 인터넷에서 그의 방송이나 영상을 자주 찾아서 본다. 그러다 보니 그가 말하는 어느 정도의 레퍼토리가 보인다. 그렇게 방송에서, 토크콘서트에서, 집회 현장에서 했던 말들이 책의 내용으로 담기기도 했다. 그럼에도 그가 헌법을 읽으면서 느꼈을 감동과 전율이 잔잔하게 다가온다.
책은 크게 4부로 나누어 구성되어져 있다. 헌법 조문 하나에 한 꼭지씩 이야기를 풀어가는데, 특별한 순서가 있는 것 같진 않다. 그래서 시간 될 때 한 꼭지씩 읽어도 아무런 부담이 없다. 전체 130조에 이르는 전체 헌법을 다 다루진 않고, 우리의 삶에 직결되지만 그간 많은 정치인들이 묵살해 왔던 조문들을 중점적으로 다루고 있다. 대표적인 것이 이미 잘 알려져 있는 행복추구권과 국가권력의 원천에 관한 조문이다. 특히 국민의 권리와 의무를 다루는 39조까지를 주로 다루고 있으며, 이후의 내용은 국가 기관 등에 관한 것이어서 굳이 다룰 필요는 없다고 여긴 듯 하다.
김제동의 소감과 주장(?)은 가히 이상주의적이라고 할 수 있다. 그러나 한편으로는 '우리'가 너무 많은 부분을 현실과 타협하는 것은 아닌지 돌아볼 필요도 있다. 사실 '우리'에 우리(국민)는 빠져 있고, '그들'(정치인들)만 포함되어 있는 것 같기도 하다. 그저 자신들의 이권과 당리당략에 따라 이익을 나누고, 불법과 부정을 눈감아주고 그래왔으니까. 그처럼 헌법을 무시해 왔으면서도 자신들이 불리하고 법의 잣대를 들이대면 자신들은 헌법기관이라고 큰소리를 치곤 했던 모습들이 선하다. 국민이 그간 몰라서 당해왔다면, 이제라도 헌법이 보장하는 국민의 권리를 잘 알아서 당당히 주장할 일이다. 적어도 투표권을 얻기 바로 전, 사회인이 되기 바로 전인 고등학교 단계에서 꼭 알아야 할 법들을 가르쳐야 할 것이다. 그깟 영어 수학에 목 메지 말고, 노동법, 임대차보호법, 헌법 등 적어도 스스로를 지킬 수 있는 것들을 가르쳐서 사회로 내보내야 하지 않을까 싶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