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 아이를 믿는다는 것 - 강요하지 않을 때 아이는 비로소 성장한다
다나카 시게키 지음, 김현희 옮김 / 다봄 / 2018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자녀 양육은 쉽지 않다. 대충하려면 또 간단할 수 있지만, 어디 부모 마음이 그러한가. 잘 키워보고자 욕심과 의욕이 앞서기에 더 어렵기만 한 것 같다. 종종 자녀는 부모가 믿어주는 만큼 성장한다는 말을 듣는다. 그런데 아이를 키우다 보면 그 말의 의미가 무엇인지 선뜻 와 닿지 않는다. 그래서 우리의 욕심과 무지, 그리고 경험에 근거한 양육 방식으로 자녀를 키우곤 한다. 여기에 보통 문제가 있다. 이 책의 저자는 일본인으로 사회적 상황이 일본의 상황이다. 일본의 사회 문제가 우리보다 조금 앞서서 발생한다는 점을 고려할 때 우리도 곧 겪게 될 일들이니 눈여겨 볼 필요가 있겠다.

 

저자는 이 책을 통해 양육 과정의 문제와 고민의 원인이 무엇인지 밝히고 그에 대한 구체적인 대안을 제시하기 위해 이 책을 썼다고 밝히고 있다. 저자는 뇌과학을 공부한 의사인데, 심리상담을 한 경험과 4자녀를 양육한 경험에서 배운 지혜를 전해주고자 했다.

 

이 책은 3부로 구성되어 있는데, 먼저 저자가 경험적으로 터득한 점들을 설명한다. 핵심은 아이 문제의 원인은 부모라는 점이다. 다음으로 부모 자식 간의 관계 유형과 방어기제를 소개해 주며, 마지막으로 아이와 대화할 때 주의할 점을 설명한다. 사실 말보다 부모의 태도가 더 중요할 수 있는데 기본적으로 부모가 양육에 대해 가지고 있는 생각을 바꿔야 한다.

 

이 책을 읽으면서 내 양육태도를 많이 점검해 보게 되었다. 먼저는 아이기 때문에 실수하고 잘 못하기 마련인데 그것을 못 참고 대신 해 줘버리거나 실수했을 때 비난하고 화내는 모습이 아이에게 나쁜 영향을 미친다는 사실을 다시 깨닫게 되었다. 안 그러려고 노력하지만 내 경험이 그러하니 쉽지 않다. 또 다른 하나는 기다리기 보다는 재촉하거나 지시하는 말을 많이 사용하는 것이다. 빨리빠리 문화의 우리 나라에서 대부분의 부모가 해당될 수 있을텐데, 아침마다 등교 준비가 전쟁이 되었다. 이 상황에 대한 재점검과 성찰이 필요하다는 것을 느꼈다.

 

학부모가 아닌 부모로서 필요한 것은 조급해 하지 않고 기다릴 줄 아는 여유있는 마음을 갖는 것이다. 기다리면 자녀는 머지않아 자기 자리를 찾아 갈 것이다. 그것이 자녀에 대한 믿음일 것이며, 자녀는 부모의 믿음만큼 자랄 것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