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교개혁은 왜 실패하는가 - 교육변화의 새로운 의미와 성공원리
마이클 풀란 지음, 이찬승.은수진 옮김 / 21세기교육연구소 / 2017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오디오클립 한주한책 서평단> 이헌입니다


한사람의 변화가 세계의 변화를 이끌 것이냐, 공동체의 변화가 개인의 변화를 가져오는가에 대한 이론은 퇴색한 이론이 된 지 오래다. 상호보완이라는 이름으로 우리가 잊은 것은 개별 책임일 거다. 이 책은 학교 개혁이라는 문제를 개별책임으로 보기 어려운 이유를 다양한 학자들의 견해에 붙여 진술한다. 더불어 개혁이 성공하기 위해서 무엇이 중요한지 알려주는 도서이기도 하다. 당연히 교사가 개혁의 중심에 있다. 그러나 교사 개인의 헌신만으로는 학교 개혁이 실패할 거라는 이야기도 하고 있다.


1부의 내용 중 나에게 중요한 시사점을 뽑는다면 누구에게 표를 줄지 고민할 때 도움이 되는 내용이라는 점이다. 왜냐하면 교육 정책 역시 위정자의 중요한 공약 중 하나이기 때문이다. 학교교육은 공통의 기억과 문화를 지속하게 만드는 일이며, 당대의 가장 정치적 의도가 가장 짙게 녹아있는 것이라는 주장이 있다. 그러니 투표가 얼마나 중요한가. 1800년대 후반 신정심상소학이라는 최초의 근대적인 교과서를 만든 이래로 지금까지 거의 모든 교과서와 교육 과정은 그리고 학교의 정책들은 정치가들의 영향 아래 있었다. 당연히 어떤 정책에 투표를 할 것인지 중요해진다.


개혁 위주의 교육 정책이 얼마나 위험한지 구체적인 사례를 들어 설명한 부분에는 공감이 되는 부분이 많았다. 그 이유를 간단히 말하자면 자칫하면 방향이나 목적을 잃을 수 있기 때문이라는 것이다. 개혁 위주의 교육 정책은 안정적인 시스템의 완성보다는 정해진 결과물을 강요하는 개혁이거나 일부 리더의 헌신에 의해 운영될 수 있기 때문이라는 것이다. (사실 우리 역사에서 봤을 때도 우리 나라가 정조라는 강력한 리더가 사라지자 갑작스럽게 우리 나라의 국력이 쇠퇴한 일도 있지 않았던가) 이러한 내용으로 미루어봤을 때 우리 아이들이 받는 대부분의 내용은 수많은 예상된 계획들로 짜인 허상일 수 있겠다 싶었다. 학교 특강에 간혹 불려가는 일이 있는데 그 때마다 얼마나 많은 서류들을 냈는지, 그 서류들은 얼마나 많은 계획들로 채워져 있는지 반성이 되기도 한다.


마음에 와 닿는 문장이 두 개 있었는데 다음과 같다.

 

학생의 학습이라는 진정한 가치가 발현되는 것은 

함께 협력하는 사람들 간에 의미의 공유가 이루어질 때이다. (76)

 

성공이라는 것은(..중략..)옳고 그른 것에 대해 

다양한 의견을 지닌 집단과 개인의 참여를 이끌어내는 것이다.(80)

 

당연한 말이다. 그런데 후반부 내용을 읽으면서 우리 사회에서는 실행이 문제라는 생각이 든다. 우리 사회는 불신이 만연해 있다. 불신이 만연한 우리 현실에서는 도입과 실행, 평가 과정에 모두 걸림돌이 존재하리라는 생각이 든다. 도입 과정에서는 교사들이 과중한 업무라고 인식할 테고, 혁신을 시도한 리더와 교육 당국은 어떻게든 성과를 가시적으로 보여야만 다음 해 예산이 책정될 것이므로 무리한 요구를 하게 될 것이다. 그러다 보면 저자가 지적했듯이 개혁의 목적보다는 그냥 행위 자체에 몰입해 당초의 방향을 무시하고 개혁의 동력을 잃은 정책이 될 것이 불을 보듯 뻔하다. 지금까지 변화해 온 입시 정책이 그랬고, 교과 정책이 그러했으며 독서 정책이 그랬다.  저자의 말처럼 수정 보완보다는 위정자들의 업적을 위해 "뒤짚어엎기"가 많았고, 그 혼란은 오롯이 학생들이 감내했으니까. 변화의 소용돌이 안에서 사교육으로 내몰리거나 학교 자체를 떠나는 학생들은 교육의 목표보다는 어른들 세계의 부조리를 먼저 배우는 악순환이 계속되는 게 지금의 실정이다. 외국으로 떠도는 교육 난민을 생산한 것도 우리의 실정이다.



2부의 내용은 좀 더 구체적인 교육 당사자들이 무엇을 어떻게 해야 하는가에 대한 제안을 담고 있다. 그 내용들을 교육 당사자들과 공유하면 좋을 것 같다. 이건 책 안에 들어있는 관념이 아니라 우리의 문제라는 걸 인지했으면 좋겠다. 교육 관계자들의 프로그램에 외국 연수를 통한 개혁 프로그램이 있다면 그에 앞서 이 책을 세미나로 공부한 후 현장을 살피는 것도 효과적이라는 생각이 든다.

무엇보다 학교개혁에 대한 신뢰를 주는 것이 우선이다. 학교개혁의 수혜자는 교사와 학생이 가장 중심에 있어야 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