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크린의 기억, 시네마 명언 1000 - 영화로 보는 인문학 여행
김태현 지음 / 리텍콘텐츠 / 2021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김태현, 『스크린의 기억, 시네마 명언 1000』, 리텍 콘텐츠, 2021. 


본 서평은 출판사의 지원을 받아 작성합니다. 그동안 내동내산 책을 소개했으나 도서를 지원받은 경우라 앞에 밝힙니다. 


  소설보다 영화가 더 접근성이 좋은 이유는 미디어 특성 때문일 것이다. 긴 묘사보다 눈에 편하고 이해하기 좋은 비주얼, 그러면서도 상황을 한 눈에 이해할 수 있는 전개. 배우의 영혼을 담은 연기, 편집과 연출의 조화. 이런 것들이 관객인 나를 행복하게 혹은 슬프게 혹은 분노와 공포에 떨게 한다. 욕을 하면서 보는 영화가 있느가 하면 여러 번에 되돌려 보는 작품도 있다. 저마다 공을 들여 만든 영화일텐데, 그래서 함부로 작품에 대해 이러쿵저러쿵 말하기도 어려운게 사실이다. 


  『스크린의 기억, 시네마 명언 1000』은 일종의 뷔페식당 같은 느낌이다. 한식, 중식, 일식의 카테고리가 있는 것처럼 꿈과 자유를 찾아주는, 사랑이 싹트는, 인문학적 통찰력을 길러주는 ... 등의 분류가 있고, 그 안에 25편의 영화가 8개의 묶음으로 소개된다. 자칫 스포일러가 되지 않게 각 영화는 매우 짧게 소개되며 이중 삶에 울림을 주는 대사들을 원어와 함께 싣고 있다. 혹시라도 외국어공부를 하는 독자라면 즐겁게 읽을 수 있겠다. 


  시는 쓰는 사람의 것이 아니라 읽는 사람의 것이에요. 

  Poetry belong to those who use it, not those who write it. 


  네루다가 등장하는 영화의 대사이다. 영화 속 대사도 마찬가지이다. 영화는 상영되는 순간 그 영화는 온전히 관객의 것이 된다. 그리고 이 대사를 보는 순간 역시 독자의 몫이 된다. 영화를 보지 않은 사람이라면 마음에 드는 카테고리를 한 장씩 넘기며 어떤 영화를 볼지 정하는 재미도 쏠쏠하다. 사실 나도 그래서 보고 싶은 영화 리스트가 몇 개 생겼다. 


  영화를 볼 수 있는 플랫폼이 여러 경로가 생기면서 시간과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영화를 볼 수 있게 되었다. 오래 된 영화라도 언제든 온라인 상에서 볼 수 있기 때문에 이런 영화소개 책자를 참고해서 작품을 고르는 재미도 있을 듯 하다. 


  200여 편의 영화를 고르기 위해 저자는 아마 더 많은 영화를 봤을지도 모른다. 저자의 시간이 보이는 도서였다. 단, 아쉬움이 남는다면 저자의 실수인지 편집과정에서의 실수인지는 알 수 없으나 문장과 행간이 섞인 면이 있었다. 우리 집에 책이 도착한 이후 이 도서가 인기리에 판매되고 있다니 다음 판에서는 수정이 되길 바란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