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를 놓는 소년 바다로 간 달팽이 24
박세영 지음 / 북멘토(도서출판) / 2023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수를 놓는 소년? 남자가 수를?이라는 고정관념 때문에 더 관심을 갖고 흥미있게 읽은 <수를 놓는 소년>

🧵주인공인 윤승은 병자호란 이후 청나라에 끌려가 노예로 살게됩니다. 부모님을 잃고 의주에서 청나라 병사에게 끌려간 하나뿐인 누나가 살아있기만을 바라며 비참한 노예의 삶을 견디고 있어요. 작은 체구로 가혹한 일을 하며 매와 구박을 받던 윤승은 참모인 어머의 어깨너머로 배운 바느질 덕에 위기를 넘기게 됩니다.

🧵진씨 부인의 바느질 부탁은 윤승에게 희망이 되었다가, 억울한 누명을 쓰고 쫓겨나 노비 시장에 가게 되는 절망으로 돌아옵니다.

🧵심양의 노예 시장에서 세자빈의 속환으로 심양관에서 농사를 지으며 지내던 중 세자빈의 부탁으로 바느질을 하게 된 윤승은 누나를 찾을 꿈을 담고, 세자빈은 조선을 살릴 꿈을 담은 그림 문자를 완성해야 합니다.

🧵수를 배우기 위해 스승님을 만나러 간 장면에서 조선 양반을 비롯해서 남자들이 수를 놓는 장면이 새로웠는데, 이는 평안북도 안주 지방에서 성인 남성들이 전문적으로 놓은 '안주수'를 모티브로 했다고 해요.

🧵스승의 질문을 되뇌며 자신이 수를 놓는 이유를 찾은 윤승은 세자빈의 마음에 쏙 드는 그림 문자를 완성하지만 이 그림문자로 세자, 아니 조선에 큰일이 닥칠 상황에 놓이게 됩니다.

(스포 🚫후반의 이야기는 책으로 직접 만나세요😊)

📖"병자호란 이후 두 왕자와 신하들, 많은 백성이 청에 끌려가 고통을 겪었고 조선은 청에 많은 공물을 바쳐야 했다."
<중학교 역사 2 비상교육 교과서 본문>

중학교 교과서의 한 문장으로는 감히 상상할 수 없는 그 시대를 살아간 사람들의 이야기를 만날 수 있었어요.

청나라인과 조선인의 관계는 물론 소현세자와 세자빈의 처지와 노력, 심양관의 분위기, 노예로 팔려간 사람들이 타국에서 겪은 일들을 실감할 수 있어요.

수는 여성의 전유물이라고 생각했던 고정관념에서 벗어나고, 여리고 아름다운 이미지의 수가 한 사람의 인생을 바꾸고, 나라의 운명을 바꿀 수 있는 소재가 되어서 새로웠습니다. 또 윤승이 수를 놓는 장면에서는 우리 수의 다양한 기법과 예술성 그리고 자부심도 느낄 수 있었어요.

전쟁 이후 너무나 가혹한 현실, 각자의 사정, 그럼에도 잃지 않는 꿈과 희망을 가진 그들과 함께 역사의 한순간에 머물러 느끼고 생각할 수 있어서 좋았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