룰 북 - 게임 비즈니스를 보면 미래가 보인다
요스트 판 드뢰넌 지음, 김석현 옮김 / 북스톤 / 2022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판교로 회사다니면서 주변에 게임회사들을 수도없이보고있다. 나 역시 블리자드와 넥슨 등등 수많은 게임회사들의 고객층 중 하나였고 현재 게임 관련 프로젝트도 진행하고있다. 그 무엇보다 빠르게 성장하고 확장하고 사람들을 끌어들이고 아주 직접적으로 돈과 관련되어있는 비즈니스는 게임 비즈니스가 아닐까.


저자인 요스트 판 드뢰넌은 여러 게임 스타트업이나 회사의 투자자이며 전략 고문이다. 가장 잘 아는 사람이 이야기해주는 이 책은 콘솔, pc게임, 모바일게임 등등 다양한 게임 사업들의 성공뿐만아니라 실패와 좌절이야기까지 다룬다. 거기서 왜 이런 결말을 맺게 되었는지 낱낱이 분석하고 보여줘서 더 객관적인 시선으로 비즈니스를 바라볼 수 있게 한다. 발빠른 이 비즈니스를 이해하면 다른 창업가나 사업가, 마케터, 디자이너 등등 여러 분야의 비즈니스에 적용될 수 있다는건 당연하다.


우리가 아는 스팀, 블리자드, 닌텐도, 플스, 엑스박스 등등 여러 회사들의 게임 이야기를 해줘서 더 재밌고 이 책 속에서 프리-투-플레이의 게임에 대한 것들을 특히 많이 알았다. 주류가 아니였던 산업이 어떻게 현재의 소비 많이 하는 분야 중 탑분야가 되었는지, 막 앱스토어가 나왔을때의 반응들과 지금의 현 상황들, 게임 비즈니스의 하이 리스크에서 배울 수 있는 깨달음 등 게임분야 아닌 사람들이 오히려 더 넓은 시각을 가질 수 있어 좋을거같다. 또 보상판매전략같은 경우는 세일즈할때도 크게 얻을 수 있을거같곻ㅎ 평소에 쓰지않는 직접적인 새로운 전략들도 많이 볼 수 있었다. 아주 흥미로웠던 !!



게임 산업이 어떻게 작동하는지 이해하려면 창의력을 넘어 게임 산업의 전반적인 구조와 모든 활동을 종합적으로 볼 수 있어야한다. 그래픽 디자인, 게임 기획, 서사, 물리 엔진 등은 모두 이와 관련이 있다. 각각의 요소들이 최종적으로 게임에서 드러나는 형태는 무수히 많은 선택의 결과다. 


스튜디오마다 게임을 개발하는 접근 방식은 다를지언정, 지향점은 다르지않다. 능력 있고 경험 많은 사람들과 다양한 생각을 기술 한경과 소비자 니즈의 변화를 고려해 결합하는 것이다.

게임 산업이 어떻게 작동하는지 이해하려면 창의력을 넘어 게임 산업의 전반적인 구조와 모든 활동을 종합적으로 볼 수 있어야한다. 그래픽 디자인, 게임 기획, 서사, 물리 엔진 등은 모두 이와 관련이 있다. 각각의 요소들이 최종적으로 게임에서 드러나는 형태는 무수히 많은 선택의 결과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