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0세 사망법안, 가결
가키야 미우 지음, 김난주 옮김 / 왼쪽주머니 / 2018년 10월
평점 :
절판


70세 사망법안은 과격한 발상이라 쳐도, 이 소설에서 그려지는 상황은 절대 특수하지 않다. 같은 세대 사람들이 모이면 대개는 부모님 수발 얘기가 화제에 오른다. 먼 거 리를 오가며 부모님을 돌보는 사례도 적지 않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Pippi Longstocking: The Strongest in the World! (Paperback)
아스트리드 린드그렌 / Drawn & Quarterly Pubns / 2015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영어책의 에피소드를 만화로 그린 영어책이다. 만화라 그림도 많고 대화로 구성되어 소설보다는 읽기 편하다. 에피소드가 다 겹쳐서 지루하기도 하다. 삐삐를 재밌게 본 아이라면, 반복해서 보고 싶은 아이라면 쉴 겸 만화를 보는 것도 좋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eBook] 해리 포터와 마법사의 돌 - Harry Potter and the Philosopher's Stone 해리 포터 시리즈 1
Pottermore Publishing / 2016년 8월
평점 :
판매중지


신비한 동물과 그린델왈드의 범죄를 보고와서 해리포터 정주행중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모두 거짓말을 한다 - 구글 트렌트로 밝혀낸 충격적인 인간의 욕망
세스 스티븐스 다비도위츠 지음, 이영래 옮김 / 더퀘스트 / 2018년 6월
평점 :
구판절판


조금 거창하게 들릴지는 모르지만 나는 디지털 시대에 이용 가능성이 점차 늘어나고 있는 이 새로운 데이터가 인류에 대한 이해의 폭을 급속하게 확장시킬 것이라고 믿는다. 현미경은 연못에 있는 물 한 방울에 우리가 볼 수 있다고 생각했던 것보다 많은 것이 들어있음을 보여줬다. 망원경은 밤하늘에 우리가 볼 수 있다고 생각했던 것보다 많은 것이 있음을 보여줬다. 그리고 이제 새로운 디지털 데이터는 인간 사회에 우리가 볼 수 있다고 생각했던 것보다 많은 것이 들어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디지털 데이터는 중요한, 심지어는 혁명적인 식견을 제공해주는 우리 시대의 현미경이나 망원경인지도 모른다.
p. 30 서론. 빅데이터 혁명의 개요

데이터 과학자의 목표는 세상을 이해하는 것이다. 직관과 어긋나는 결과를 얻으면 우리는 데이터 과학을 이용해서 세상이 겉으로 보이는 것과 왜 다른지를 설명한다.
p. 55 1. 직감은 불완전하다

빅 데이터의 힘
1) 새로운 유형의 데이터 제공
2) 솔직한 데이터 제공
3) 작은 집단도 클로즈업해서 볼 수 있는 것
4) 인과적 실험의 실행 가능성
P. 72, 73 2. 프로이트가 옳았을까?

설문조사에 답할 때 사람들은 당혹스러운 행동이나 생각을 축소해서 이야기한다. 사람들은 멀쩡하게 보이기를 원한다. 설문조사가 대부분 익명인데도 말이다. 이것을 사회적 바람직성 편향Social desirability bias이라고 부른다. (…) 설문조사에서 우리가 거짓말을 하는 또 다른 이유는 인터뷰를 진행하는 낯선 사람에게 좋은 인상을 주고 싶어하는 강한 욕구때문이다.
p.129 4. 디지털 자백약

그렇지만 개인적인 수준에서 범죄 예측에 검색 데이터를 사용하려면 매우 신중을 기해야 한다. 데이터는 끔찍한 검색이 끔찍한 행동으로 이어지는 경우가 매우 드물다고 분명히 말한다. 현재로서는 정보가 이런 검색을 검토해서 특정한 잔혹 범죄를 높은 확률로 예측할 수 있다는 증거가 없다. 따라서 정부가 검색 데이터를 바탕으로 개인적인 수준에 개입할 수 있도록 허용하는 데는 각별한 주의가 필요하다. 단순히 윤리적, 법적인 이유에서만이 아니다. 데이터 과학적 이유에서도 필요하다.
p. 309 8. 빅데이터로 하지 말아야 할 것

MIT 과학자로 최초로 인공지능의 가능성을 연구한 마빈 민스키는 심리학이 물리학을 따라 하려 노력하면서 궤도에서 벗어났다고 말했다. 물리학은 모든 시간과 모든 장소에 적용되는 단순한 법칙을 찾는 데 성공했다. 민스키는 인간의 두뇌는 그러한 법칙의 대상이 아니라고 생각했다. 두뇌는 한 부분이 다른 부분의 실수를 교정하는 복잡한 시스템일 가능성이 높다. 경제와 정치 시스템도 그와 마찬가지로 복잡하다.
이런 이유로 사회과학 혁명은 E=MC2처럼 깔끔한 수식의 형태로 정리되지 않는다. 사실, 누군가 깔끔함 공식을 바탕으로 사회과학 혁명을 주장한다면 거기에 회의를 품어야 마땅하다.
혁명은 연구에 이은 연구로, 발견에 이은 발견으로, 단편적으로 진행될 것이다. 우리는 인간 정신과 사회라는 복잡한 시스템에 대한 이해를 서서히 넓혀갈 것이다.
p. 313 결론. 얼마나 많은 사람이 책을 끝까지 읽을까?

따라서 나는 이 책을 적절한 방법으로 끝맺을 것이다. 데이터에 따라서, 사람들이 하는 말이 아니라 사람들이 실제로 하는 행동에 따라서 말이다. 나는 친구들과 맥주를 한잔하고 이 망할 결론을 그만 쓸 것이다. 빅데이터가 말하길 여기까지 읽고 있는 사람은 극히 소수니까.
p. 324 결론. 얼마나 많은 사람이 책을 끝까지 읽을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추사 김정희 - 산은 높고 바다는 깊네
유홍준 지음 / 창비 / 2018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어렵다. 한문도 서예도 그림도 아는바가 없으니 수많은 참고 자료를 감상할 능력이 안된다. 그럼에도 끝까지 읽게된 것은 유홍준 선생님의 친절한 설명 덕분이다.

더욱이 추사는 글씨만 잘 쓴 서예가가 아니었다. 추사는 한 사람의 사대부로 당대의 문인이자 학자였으며 벼슬이 병조참판에 이른 분이다. 정옥자 교수는 조선시대 사대부들의 지적 활동을 오늘날의 대학 문화에 비교하여 문사철(文史鐵)을 전공필수로 하고 시서화(詩書畵)를 교양필수로 삼았다고 했는데, 추사는 이 모든 분야에서 ‘에이플러스‘를 받고도 남음이 있는 분이었다.
추사는 시와 문장에서도 대가였다. 그가 세상을 떠나고 10여년 후에 편찬된 시집인 [담연제시고] 서문에서 당대 시인 신석희는 이렇게 말했다.

추사는 본디 시와 문장의 대가였으나 글씨를 잘 쓴다는 명성을 천하에 떨치게 됨으로 써 그것이 가려지게 되었다.

p. 12~13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