밀양 - Secret Sunshine
영화
평점 :
상영종료



 



남편을 잃은 여자, 신애는 아들과 함께 남편의 고향 밀양으로 내려온다. 신애의 과거는 구체적으로 드러나지 않지만, 자신을 모르는 곳에서 새로운 출발을 하고 싶다는 그녀를 보니 이전의 시간이 그녀에게 결코 녹록치 않은 모양이다. 허나 새로운 곳에서의 시간도 그녀는 버겁기만 하다. 이방인인 그녀를 둘러싼 소문이 그녀보다도 먼저 사람들에게 도착해 그녀는 졸지에 ‘불행한 여자’가 된다. 숨바꼭질을 좋아하는 아이는 갑작스럽게 납치되어 영영 보이지 않는 곳으로 숨어버렸다. 밀양이 시작되는 곳에서 만난 종찬. 그는 그녀의 시크릿 선샤인처럼, 그때부터 내내 그녀의 주변을 맴돈다.

 

이야기는 여기서부터 시작된다. 신애가 어떤 과거를 지녔는지, 아이가 어쩌다 불의의 사고를 당했는지 이 영화는 관심이 없다. 그녀를 둘러싼 사건들은 들리지 않고, 보이지 않는다. 화면에 보이는 것은 오롯이 자그마한 신애의 몸뿐이다. 우리는 그녀의 반응을 통해서만 사건을 느끼고 알 수 있다. 이 영화가 관심을 갖고 있는 것은 바로 이 지점이다. 견딜 수 없는 고통에 빠진 그녀가, 이제 어떻게 살아갈 것인가.

 



영화는 불편하다. 관객으로서, 신애한테 감정이입 하기가 쉽지 않기 때문이다. 신애는 낯선 캐릭터다. 이것은 감독의 계산이다. 이창동은 관객이 그녀를 “주관적으로 이입되는 것보다 한발 물러서서 보도록” 했다. 컷과 컷 사이에 그녀는 자세한 설명이 없이도 극단적인 감정을 오가는 여자다. 그녀는 자존심이 강하고, 생활력도 강하고, 무엇보다 의지가 강한 인물이다. 때문에 다른 여자와의 관계가 있던 남편이 자신만을 사랑했다고 굳게 믿을 수 있으며, 고통 가운데 단번에 종교로써 구원을 얻을 수 있었다. 하지만 역시 그러하기 때문에, 자신의 믿음이 흔들렸을 때 철저하게 절규하고, 저항한다. 누구도 그녀 곁에 다가설 수 없다. 누구도 함부러 그녀의 고통을 이해하거나 위로할 수 없게 만든다. 수많은 사람들이 그녀를 위로하고 기도하고 가까이 다다가지만, 실제로 그녀의 가장 가까이 있는 인물은 매번 그녀의 몇 걸음 뒤에 머물러 있는 종찬이다.

 

두 번째 불편했던 영화는, 종교적인 부분이다. 기독교의 풍경이 그려지는 모습에 의구심을 품었다. 어떻게 이해해야 하는가. 감독은 이런 풍경으로 무엇을 말하려고 하는가. 이창동 감독은 스스로 말하듯이 종교에, 혹은 타인에게 예의가 있는 사람이라고 느꼈다. 신애를 묘사하는 방식이나 교회 풍경의 묘사에 있어서 고민한 흔적이 묻어나기 때문이다. (이 점에 있어서는 감독 코멘터리를 참고하시길) 적어도 대상을 두고 함부로 아는 척 하지 않는다. 이 영화는 철저히 신애의 신체에 초점이 맞춰져 있기 때문에 어찌보면 자극적으로 작동할 수 있는 기독교 설정은 사실 하나의 배경에 그친다. 그것은 그저 위로하는 사람들의 풍경인데, 종교가 건네는 위로는 일반인이 건네는 그것보다 훨씬 적극적이다. 때때로 우리가 너무도 쉽게 건네는 위로의 풍경- 너를 이해한다고 쉽게 단정짓는 풍경을 극대화시킨 것을 기독교적인 설정으로 표현했다고 본다. 위로하려는 노력보다 앞서는 말은 때때로 소외를 낳는다. 신애 근처의 많은 사람들이 모두 신애를 위하지만, 신애는 늘 소외되어 있다. 신애 스스로도 자신의 내면과 화해하지 못하고, 애써 웃음을 지으며 스스로를 소외시키고 있기 때문이다.

 



감독은 그녀의 감정을 끝까지 밀어붙인다. 극단에 치달은 그녀의 모습은 사뭇 공포영화를 보는 것만큼이나 무섭고 충격적이다. 하늘(신)에 저항하는 그녀의 작은 몸뚱아리는, 인간 존재의 한계에 부딪쳐 안간힘을 쓴다. 누구도 그녀의 고통에서 예외일 수 없고, 누구도 그녀를 위로하는 실체없는 손과 다름 아니다. 그러기에 관객은 주체이자 객체가 되고, 어느새 밀양이라는 세계 속 하나의 조연이 되어 그녀를 바라보는 듯한 몰입을 하게 된다.

 

내가 용서할 수 없는 사람을 겨우 용서를 베풀러갔더니, 그 죄인은 벌써 구원을 받고 평화 속에 놓여있다. 이 어처구니 없는 용서(그녀)와 용서(신)의 간극. 하늘과 땅의 거리만큼 벌어진 망망한 간극 속에 홀로 놓여진 작은 영혼. 그녀는 바람처럼, 때때로 작은 회오리처럼 흔들린다. 관객은 그런 그녀를 계속 본다. 우리는 타인을 결코 이해할 수 없다. 우리가 그녀의 고통을 지켜보는 것은 어떠한 의미를 가지는가? 감독은 왜 그 이해할 수 없는 고통의 한 가운데로 관객을 몰아넣는가?

 



영화는 끝이 나도, 그녀의 삶은 그렇게 계속 될 것이다. 그녀는 때때로 눈을 치켜뜨며 하늘을 올려다 볼지도 모른다. 종찬은 계속 그렇게 머물기만 할지도 모른다. 영화는 끝날 때까지 그녀의 삶에 어떠한 변화도 구원도 주지 않는다. 하지만, 희망이라고 하기엔 무척이나 미미하지만, 그녀가 마지막 장면에서 웃는다. 양복가게 주인여자와 평상시처럼 대화를 나누는 장면을 떠올려보자. 앞에서도 충분히 나누던 일상적으로 나누는 안부임에도 불구, 분명히 다른 점이 있다. 나는 주인여자가 그녀에게 “병원에서 잘 먹고 잘 쉬었나베”하며 툭 말을 꺼냈다 얼른 살짝 ‘아차 잘못말했다’하며 고개를 돌려 입을 가리는 장면. 그 모습을 보고 터덜 웃음을 터뜨리는 신애.

 

함께 웃는 두 사람 장면에서 느낄 수 있었다. 그래도 그녀는 살아갈 수 있겠다. 타인의 고통에 섣부른 위로가 아니라, 작은, 아주 작은- 입을 가리고 실수를 용인하는 정도라도- 배려가 있다면, 당신과 나는 함께 웃을 수 있지 않을까. 그것은 결코 아픔을 치유해주지는 못하지만, 그 아픔도 삶의 한 조각처럼, 내리쬐는 햇볕처럼 그대로 품고, 한번 웃어주고 우리는 그렇게 계속 살아갈 수 있지 않을까. 내가 너를 이해할 수 있다는 만용, 덜 불행한 내가 더 불행한 너를 위로해주겠다는 무의식적인 만용에 한번만이라도 의심을 품을 수 있다면, 한번만이라도 그것이 상대를 소외시킬 수 있다고 배려할 수 있다면, 적어도 우리는 이렇게 함께 살아갈 수 있는게 아닐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