낭만적 연애와 그 후의 일상 (한정판 더블 커버 에디션)
알랭 드 보통 지음, 김한영 옮김 / 은행나무 / 2016년 8월
평점 :
품절


나는 현재의 남편과 결혼한지 만 3년을 바라보고 있으며,우리는 결혼하기 전 3년 반 가량을 만나왔다. 결혼을 준비하던 무렵 친한 지인이 '어떻게 이 사람과 결혼하는 것을 결정하게 되었어?'라고 물어본 적이 있었다. 그 때 남편과 나는 둘다 입을 모아서 '이 사람보다 나은 대안이 없다는 것을 너무 잘 알아서 결혼한다.'라고 대답했다. 질문자는 결혼을 앞둔 예비 신랑, 신부에서 나온 대답 치고는 너무나 건조하고 낭만 없는 대답에 표정이 좋지 않았지만, 우리 둘은 이보다 더 좋은 '결혼 이유'가 어디에 있냐며 이심전심하며 마냥 좋아했었다. 

거진 7~8년만에 알랭드보통의 작품을 읽었다. 질풍노도의 대학생 시절, 질풍노도의 여러번의 연애를 끝내고, 시작하곤 했었는데, 그 때마다 알랭드보통의 소설은 촌철살인의, 자기비하의 매력이 있었다. 너무나도 냉철한 그의 분석이 때로는 상처를 후벼파기도 하지만, 끊기 힘든 매력이 있어, "왜 나는 너를 사랑하는가", "우리는 사랑일까?", "키스 앤 텔"에 흠뻑 빠져들었더랬다. 그 후 남편을 만나고 결혼을 하게되면서 연애는 안정기에 들어서고, 한편으로 진로와 육아와 같은 지극히 현실의 장벽들을 넘느라 알랭드보통 소설과도 자연스레 멀어졌다. 

그러던차  그가 21년만에 신작 소설을 출판했다는 반가운 소식에, 게다가 제목이 "낭만적 연애와 그후의 일상"이라니! 결국 신작의 주제는 '결혼생활'인 것이잖아?! 더욱더 반가웠다. (나중에 알고보니 원작의 제목은 "Course of Love"이고, "낭만적 연애와 그후의 일상"은 한국판의 제목이었다. 보통은 한국판 제목이 원제를 뛰어넘지 못하는 경우가 많은데, 이 책은 한국판 제목이 책의 내용을 잘 살린 것 같아서 더 마음에 든다.)



알랭드보통은 전작에서도 그렇지만, 연인이 사랑에 빠지는 순간, 연애의 정점을 지나 권태에 빠지는 순간, 권태를 해결하기 위한 몸부림에서 서로를 비난하는 순간을 생생하게 묘사하는데 탁월한 재주가 있는 것 같다. 이번 작품이 전작과 다른 점은 주인공들이 결혼을 하고 그 이후 과정이 펼쳐진다는 것에 차이가 있지만, 그래서 '결혼을 결정하는 순간', '결혼의 들뜬 기분이 가라앉은 후 일상이 되었을 때의 모습', '권태기의 부부', '위기의 부부'까지 생생하게 보여준다. 부부가 가사일을 서로 나누어 하는 것에 대하여 다투고, 잘 때 창문을 열어두는지, 닫는지 때문에 싸우게 되는 모습은 지극히 현실적이어서 무한 공감을 불러일으켰다.


책은 비관적이라면 비관적이라고도 할 수 있는 결론을 보여준다. 배우자에게 완전히 이해되기를 단념하여야 하며, 서로 잘 맞지 않는다는 것을 인식하여야만이, 결혼생활을 잘 유지할 수 있다는 것이다. 냉정하게 들리는 저 말이 오히려 따뜻하게 느끼는 내가 변태인걸까? ㅎㅎㅎ


한가지 아쉬운 점은 예전에는 매력적이라 느껴졌던 다소 현학적인 문체가 오히려 독서에 빠져드는데 방해가 되는 듯한 느낌이 들었다. 번역의 문제인지, 아님 나의 취향이 담백한 것을 좋아하는 것으로 변한 것인지 모르겠다.



http://blog.naver.com/sur1n/220874590155




라비가 결혼할 준비가 되었다고 느끼는 것은
타인에게 완전히 이해되기를 단념했기 때문이다.

라비와 커스틴이 결혼할 준비가 된 것은
그들이 서로 잘 맞지 않는다고 가슴 깊이 인식하기 때문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