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정의 한국사
이은식 지음 / 타오름 / 2009년 8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이땅의 어머니들이 일구어낸 자녀교육을 만나볼수 있었던 좋은 기회였던것 같습니다.
"모정의 한국사" 조선의 정치가 당파싸움이 라면 조선의 인물하면  조선의 학자나 장군들을 떠올릴수 있는데 그 뒤에는 가슴벅찬 이름 어머니를 빼고 그 위인들을 말할 수 있을까?
학자이자 대문호의 스승이었던 어머니 김만중의 어머니 해평윤씨의 자녀교육은 삶 그자체였던것 같다.

해평윤씨가 항상 말씀하셨던 "너희들은 다른 사람과는 같지 않으니 남보다 한층 더해야 겨우 남의 유에 들리라"

하시고 "사람들은 행실이 없는자를 꾸짖으며 말하기를 반드시 과부의 자식이라 하나니 이 말을 너희들은 마땅히 각골하라"

형제에게 허물이 있으면 "너희의 아버지가 너의 형제를 나에게 부탁하고 세상을 버렸으니 네가 만약이와같이 한다면 내가 무슨 면목으로 너의 아버지를 지하에서 보겠는가. 학문을 아니하고 살려면 빨리 죽는이만 같지 못하다.
자식들의 교육이 인생의 전부였던 성임,성간,성현의 어머니 순흥안씨 후손들이 번영을누린 기록이 있는건 순흥안씨가 뿌리고간  덕성의 열매가 아닌가 믿어진다 우주공간에 존재하는 모든 생물은 천지섭리를 비켜가지 못한다는 작가의 말에 공감을느낀다
운명을 뒤바꾼 헌신 박일산의 두 어머니 이 대목을 읽으면서 나는 무척이나 맘이 상했다 자기자식 죽이지 않을려는 부모의 마음은 이해를 한다 허지만 노비는 지자식을 주고 노비는 양반의 자식을 키우는것이 아름답게 보이지만은 않는다 조선시대 양반들은 자기 가문의 영광만을 위하여 다른 사람의 삶에는 전혀 눈길 한번 안준것 같아 몹시도 씁쓸하다
어머니의 죽음과 바꾼 빛나는 인생 양사언의 어머니 문화유씨 아들의 미래 부귀영화를 위해서 자기의 삶을 마친 어머니 이것이 조선의 성리학의 폐단인것 같다.
앞못보는 어머니 서서의 어머니 고성이씨
짙은그림자가 있는곳에는 높은산이 따른다 이준경의 어머니 평산신씨
저자가 기록한 어머니들 보다 더욱 빛을 발한 어머니들이 조선시대에는 무궁무진 하였으리라 생각이 된다 그러지 않고서야 어찌 오백여년 조선의 역사가 이루어 질수 있었던가?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