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이라이프
김사과 지음 / 창비 / 2024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김사과 작가의 《하이라이프》를 읽었다. 2000년대 초반의 어린 허영심과 로망이 이렇게 진화했구나, 내 눈앞에 생생하게 보여준 김사과의 단편집.

▪️밑줄긋기

그녀는 다시 한비를 보았다. 깜--빡. 이제 완전히 이해할 수 있었다. 한비가 보내는 유혹의 신호, 그 모호하게 열렬한, 자연스럽지만 필사적인, 그리하여 굉장히 그로테스크해지는 그녀의 구애가 다름 아닌 자신의 부모를 향한 것이라는 사실을 말이다. 하여 진실 또한 명확해졌다. 그녀가 청춘을 바쳐 선망한 신비한 생명체 한비의 창조자가 바로 그녀의 부모라는 것이 말이다. 하지만 당연한 사실이 아닌가? 대체 그 진실의 어느 부분이 충격적일 수 있는가? 바로 그들이 한비를 낳아 기른 부모인 것이다. 그들이 수십년에 걸쳐 다듬고 깎아 완성한 자랑스러운 작품, 바로 그것이 한비인 것이다. _p.120

▪️김사과 작가가 프레시안에 제발트의 《토성의고리》에 대해 쓴 글을 보았다. '사과'라는 이름이 주는 과즙팡팡한 느낌과 정반대에 있는 글이 주는 경각심은 정말 강렬했다. (사실 글로 혼나는 느낌이었다) 그녀의 소설은 어떨까.

《예술가와 그의 보헤미안 친구》 《두 정원 이야기》《♡100479♡》는 연작이라고 해도 무방할 서사이다. 《예술가..》이수영이 알수없는 (사실은 너무 분명한) 분노를 쏟아내며 결국 《두 정원..》의 김은영이 되버린 것 같기도하고, 그 전에 이수영은 《1004 79》친구에게 편지를 쓰기도 했던것 같다. 아, 이것은 리얼리티라고 밖에..

▪️아주 오래 전 읽었던 정이현의 《낭만적 사랑과 사회》가 생각났다. 희미한 기억을 더듬어 책장을 뒤져 다시 읽어보았다. 화자의 부잣집 친구, 혜미가 타고다닌 폭스바겐 비틀이 각주에 친절히 달려있다. 그것도 노란색 컬러 사진까지 덧붙여서. 이 소설은 그 컬러각주만큼이나 그때의 내 작고어린 허영과 헛짓에 파란약과 빨간약을 동시에 내보였던 것이다. 1972년생 정이현 작가가 2002년에 쓴 글이 1984년생 김사과 작가가 2020년에 쓴 글에서 내게 말하고 있었다. 어제는 지인들과 부동산경매 임장갈 계획을 세우고 34평 신축 아파트에는 건설사 하자보수 손해배상을 위한 법원 감정인이 다녀갔다. 그럴듯 해보이는 40대를 맞이하는것 같으나 나는 어디 말하기 부끄러워질만큼 여러 허들을 넘지 못했고, 이제는 친구,동기,선후배가 모두 변호사인데 나만 아니면 어떡하지, 내집단이라고 생각했던 곳이 이제 외집단이 되버리면 어떡하지 걱정하는... "너는... 이렇게 자랐구나" 말해주는 것 같은 소설들. 나는 책을 덮으며 묻지 않을 수 없다. 나는 지금 대체 어떻게 된거지?

▪️《두 정원 이야기》의 김은영은 적당히 평온을 택하고 《예술가와 보헤미안친구》의 이수영은 "이제 나는 어떡하냐고! 나는!나는!"이라며 바락바락 소리를 지른다. 나는 늘 전자를 택해온 사람. 생애 어디에선가 이수영처럼 소리를 질렀어야했단 생각이 든다. 그래서 김사과의 생생한 화법에 카타르시스까지 느껴진다. 이수영의 분노는 그래서 순수하고 용감하다. 나는 늘 그런 사람들을 좋아했지.

▪️세 작품 (정이현의 '낭만적 사랑과 사회' 마저도) 모두 '나'와 '친구'가 있다. 나는 '적당'하고 친구는 ( 내게 결핍된 것에 다른 말이 아닌) '특별한' 것이 있다. 더 물질적이고, 남자에 의존적이었던 허영은 김사과에 이르러 조금더 자존적이고 예술적이며 개인적이 된것인가. 왠지 더 지평은 넓어지고 고민은 복잡해진것 같다. ESG 에코 부자가 어디 쉬운가. 그래도 '나는 이런 고민중'이라며 그 어려운 것을 해내려는 욕망은 도시를 휩싼다. 이것은 다시 리얼리티라고 밖에...

▪️나는 어느 날은 이수영처럼 소리치고 싶고, 어느 날은 아파트 커뮤니티에서 커피 마시고 싶고, 어느 날은 친구에게 편지를 쓰고 싶고, 어느 날은 나인원한남 푸드코트에 가고 싶어질 것이다. 나는 이렇게 자랐구나. 이제 각성하고 어떻게 늙을것인지 생각하라. 이것은 리얼리티이므로.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