루호 - 제26회 창비 ‘좋은 어린이책’ 원고 공모 대상작(고학년) 창비아동문고 323
채은하 지음, 오승민 그림 / 창비 / 2022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루호》, 채은하, 창비 

오랜 옛날 금강산에는 호랑이들이 드넓은 땅을 누비며 살았다. 그러나 인간의 안전이라는 명목으로 호랑이들을 무차별적으로 사냥하던 사냥꾼에 의해 호랑이 수는 급격하게 줄어든다. 결국 호랑이들은 생존을 위해 인간으로 변신하는 능력을 터득하여 인간들 속에 섞여 살아가게 된다. 

그렇게 시간이 흘러 호랑이 루호, 토끼 달수, 까치 희설은 오래전에 그랬던 것처럼 인간으로 변신하여 호랑이 구봉 삼촌 네 집에서 함께 살아간다. 

그러던 어느 날, 숲속에서 호랑이 흔적이 발견되고 동네에서 호랑이를 잡는 데 혈안이 된 강태 아저씨가 루호네를 의심하게 되는데......
.
.
🐯《루호》를 읽으면서 인간의 욕심에 관해 생각했다. 산을 밀어 버려 더 이상 호랑이들이 숨을 곳이 사라졌다는 문장이나, 오래전 자신의 안위를 위해 호랑이를 사냥했다는 인간의 이야기를 들으면서 자연과 인간이 함께 공존할 수는 없었을까 하는 안타까움이 남았다. 자연과 인간의 공존에 대한 문제는 지금도 그리고 앞으로도 계속 고민해 나아가야 할 문제라고 생각한다.

🐯《루호》는 특별한 능력은 아들만 물려 받을 수 있음에 의문을 제기한다.
그리고 호랑이라는 인물이 인간으로 변신했을 때 남자일 것이라는 편견과 그동안 무서운 야수나 미련하게 그려지는 호랑이에 대한 고정된 이미지를 탈피한다. 그러면서 주인공 루호에 이입을 통해 호랑이 또한 인간과 같은 생명이 있는 존재이며 우리에게는 그들을 해칠 권리가 없음을 드러낸다.

🔖"숨은 호랑이들이 더 이상 쫓기지 않길, 우리가 모두가 어떤 모습으로도 안녕할 수 있길 바라면서."_작가의 말 

🐯인간과 동물의 이야기는 여기에 멈추지 않고, 의미가 확장된다. 겉모습이 나와 다르다는 이유로 배제해서는 안 되며 그 자체로 존중해야 한다는 주제 의식은  지구상의 모든 존재들의 안부를 묻도록 한다. 

🔖용기를 내어 어떻게 살지 결정한 거야. 우리 자신을 만드는 건 바로 그런 선택들이야. 오랜 시간을 살아온 나도, 호랑이이자 사람인 너도 그렇지 우리는 언제든 우리의 길을 스스로 선택할 수 있어. 그걸 잊지 마._P. 60

🐯구전 설화를 듣듯 이야기가 흥미로웠고, 가독성 있는 문장은 몰입하여 책장을 술술 넘기게 했다. 

🐯《루호》는 선택으로 상황을 바꾸고 운명을 개척해 가는 인물들로 작게만 느껴지는 나의 선택에는 실은 세상을 바꿀 가능성이 잠재해 있다고, 그러니 나도 어떤 존재도 배제되지 않고 함께할 수 있는 세상을 만들어 갈 수 있다고 말해 준다. 이 소설의 마지막 장을 덮으며 작은 선택이 모여 일어날 거대한 변화를 상상해 본다.

*창비로부터 도서를 지원받아 작성한 서평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