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가 사랑한 대표 한시 312수 - 한시가 인생으로 들어오다
이은영 편역 / 왼쪽주머니 / 2020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나에게 한시는 생소한, 낯선, 다가가기 어려운 미지의 세계와 같다.

학창 시절 시험을 위해 암기했던 한시는 먼 기억 작은 흔적으로도 남아 있지 않다.

그런 나에게 한시를 읽어보고 싶다는 생각을 들게 한 건 ebs 세계테마기행 중국 한시 기행이라는 프로그램이었다. 중어중문과 교수가 쓰촨성을 여행하며 한시의 역사적 배경을 설명하고 이백, 두보, 소동파 등 유명한 중국 시인의 한시를 읊어주는데 시대적 배경지식과 시에서 묘사된 풍경을 함께 보면서 들으니 한시가 그렇게 매력적일 수가 없었다.

선조들이 풍류를 즐기며 시를 쓰게 되었는지 간접적으로 경험을 해보았다고나 할까.

 

우리가 사랑한 대표 한시 312는 중국의 시선이라고 불리는 낭만주의 시인 이백, 성인의 마음으로 백성과 나라를 걱정하는 마음을 풍경에 비유하여 시를 썼다는 두보, 우리나라 사람이라면 너무나 잘 아는, 한 시대를 풍미했던 이성계, 왕건, 조선시대 실학자 박지원, 정약용, 여성 시인 허난설헌, 황진이까지 나라, 성별, 시대를 망라한 194312수의 한시를 담고 있다.

 

이 책은 한시를 천지인풍(하늘의 이치, 땅의 기운, 사람의 인생, 자연의 멋)으로 분류하고 다시 여섯 개로 소분류 하여 소개하고 있으며 시마다 이해를 돕는 그때 상황의 설명과 한시를 재미있게 읽는 방법을 첨부하고 있고, 책 뒤편에는 작가 소개란도 있어 시를 좀 더 쉽게 즐기게 해준다. 다만 중국 한시는 중국사에 대한 풍부한 배경지식이 있으면 한시에 대한 이해도가 높았을 텐데, 부족한 나의 지식으로 시인의 의도한 바를 잘 알 수 없는 시들도 있어 아쉬웠다.

 

한 장 한 장을 넘기다 반가운 한시가 있어서 소개해본다.

    

 

산거잡흥(山居雜興)

 

둥지 속의 새끼 제비 깃이 제법 돋아나고      燕家兒子漸生翎

어미 제비 가끔 와서 독경 소리 듣더구만      燕母時來亦聽經

결국 본성 속에 불성이 없는지라                 終是天機非佛性

그냥 날아가서 잠자리를 낚아채네               還飛去捕錄蜻蜓

 

 

강진 유배생활 중 자신이 절간에 거처한다고 상상하고 경치를 읊으면서 만든 시인데 20수 중 일부분이다.

정약용이 혜정 스님과의 교류를 위해 다산초당에서 백련사까지 만덕산 고개 오솔길을 오갔다는 곳을 그대로 걸어본 적이 있었다.

덥고 생각보다 먼 길이였지만 아이와 주변 풍경, 곤충 보는 재미로 걸었는데 이 시를 읊으니 정약용이 오갔을 백련사의 모습이 그려져 반가운 마음이 컸다.

 

이외에도 나라를 사랑하는 마음이 담긴 안중근 의사의 조국 금수강산, 백운봉에 올라 한강유역을 바라보며 이 땅의 새 주인이 되겠다는 포부를 밝힌 이성계의 등백운봉, 과거 공부하러 간 남편을 그리워하면 쓴 허난설헌의 기부강사독서 등 내용은 함축적이지만 시대의 아픔, 희망, 외로움이 한수 한수에 담겨있었다.

 

저자는 한시를 즐기는 방법으로 필사를 추천한다.

암기하지 않아도 이해하지 못해도 한시를 읽고 써보며 즐기는 동안 선비가 되어 한시의 멋과 진수를 느끼게 된다고 말이다.

나도 아이와 함께 하루 한시 필사를 실행해보고자 한다.

많은 선조들이 시인의 시를 통해 느꼈을 희로애락을 느껴보고자 말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