칼 라르손, 오늘도 행복을 그리는 이유
이소영 지음 / 알에이치코리아(RHK) / 2020년 6월
평점 :
구판절판


 

언젠가부터 자연을 모티브로 단순하고 반복적인 무늬를 사용하여 포인트를 준다거나 흑백의 프린트, 사진 액자로 장식하는 북유럽 감성의 인테리어가 유행하고 있어요. 해가 짧고 긴 겨울 동안 우울하지 않고 집안에서 안락함을 찾는 북유럽의 생활방식에 자연친화적이고 실용적인 면이 더해져 태어난 스칸디나비아 디자인이 칼과 카린 라르손의 집을 모티브로 태어난 개념이라고 하네요.

 

 

스웨덴의 국민 화가이자 이케아의 정신적 모토가 된 화가이자 공예가.

칼 라르손이 그린 행복의 비밀을 찾아보겠다고 머나 먼 스웨덴 광산 마을까지 갔다는 저자의 말까지.

유명한 인물이라지만 아쉽게도 나에게는 낯선 인물인 그에 대하여 나열된 책 표지의 문구들에 칼 라르손의 그림이 궁금해졌어요.

 

빈민가에서 태어나 알코올 중독증 아버지 때문에 불우한 어린 시절을 보냈던 칼 라르손.

성공한 사업가 아버지와 강인한 어머니에게 사랑을 받으며 유복한 가정환경에서 자란 카린 라르손.

평생을 불안과 우울증에 시달렸던 그였지만 자신에게 절대적인 지지를 보내주는 카린과의 결혼으로 꿈꾸던 가정과 정신적 안정을 되찾게 되지요.

행복한 집과 가족에 대한 갈망이 컸던 그는 불우한 어린 시절의 고통을 부인과 아이들에게 물려주지 않으려고 노력했다고 합니다.

 

행복은 가장 가까운 가족을 돌보는 데서 시작한다.

    

 

수채화가 주는 따뜻함과 가족에 대한 애정 어린 시선이 느껴지는 그의 그림은 가끔 꺼내보며 추억하는 가족 앨범 속 가족사진 같아요.

8남매의 사랑스러운 모습들, 함께한 일상을 이국적인 풍경과 함께 보고 있노라면 행복해 보인다라는 생각이 저절로 들어요.

그들의 일상이 특별하게 느껴지는 이유는 사소하고 평범한 것을 특별하다고 생각하는 마음 때문이 아닐까 생각합니다.

 

카린과 함께 꾸민 집

내 가족에 대한 추억

이 모든 것이 담겨 있는 그림들이 내 인생 최대의 작품이다.

 

 

그림 속 릴라 히트나스라는 이름의 집은 카린의 창의성과 예술성이 가득 담긴 집이에요. 가족의 모든 것이 담긴 집이지요. 행복한 집과 가족에 대한 갈망이 컸다는 부부의 노력이 보이는 집이에요.

그의 집 풍경을 담은 수채화 화집을 출판했는데 손수 만든 가구와 인테리어는 북유럽에서 인기를 얻었다고 합니다. 그 당시에는 빅토리아 스타일을 따르고 있었는데 심플하고 파스텔톤의 직물을 사용한 인테리어는 상당히 새로운 방식이었다고 해요. 이 새로운 방식이 지금까지도 사랑받는 스칸디나비아식 스타일의 기초를 마련했다는 평가를 받고 있어요.

 

 

칼 가르손의 그림을 보고 있으면 특별한 행복의 비밀 따위는 없었다. 그는 단지 그냥 별일 없는 하루를 그림으로 기록했을 뿐이었다. 그런데 그 별일 없는 하루가 왜 그렇게 아름다운지 모르겠다.’는 작가의 글이 이해되고, ‘평범함이 가장 큰 행복의 지름길이다라는 말이 생각나게 해주네요.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