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행의 이유 - 김영하 산문
김영하 지음 / 문학동네 / 2019년 4월
평점 :
구판절판


김영하의 책은

소설보다 에세이를 더 좋아한다. 

잘쓴 에세이란 이것이다, 라며 보여주고 싶다. 

다만 이 책에선 '노바디 ' 파트는 좀 지루했다, 

나도 그처럼 여러 나라를 여행하고, 그곳의 초청을 받아 오래 머물며, 글을 쓰고 싶다. 



57

주인공이 어떤 사람이냐고 물으면 이렇게 대답하는 학생들이 적지 않았다. '그냥 평범한 회사원(대학생, 공무원 등등)이에요,' 그럴 떄 이렇게 말하는 것이 선생으로서의 나의 역할이었따. 

"평범한 회사원? 그런 인물은 없어"


- 중요한 이야기다. 내가 가끔 소설을 쓸때 평범한 20대 여성, 이딴 캐릭터를 생각해왔으니까.


62

<살인자의 기억법> 의 작가의 말 의 서두에는 이렇게 시작한다. 

소설을 쓰는 것이 한 세계를 창조하는 것이라 믿었던 때가 있었따. 어린아이가 레고를 가지고 놀듯이 한 세계를 내 맘대로 만들었따가 다시 부수는, 그런 재미난 놀이인 줄 알았떤 것이다. 그런데 아니었다. 소설을 쓴다는 것은 마르코 폴로처럼 아무도 경험하지 못한 세계를 여행하는 것에 가깝다. 우선은 그들이 '문을 열어주어야'한다. 처음 방문하는 그 낯선 세계에서 나는 허용된 시간만큼만 머물 수 있다. 그들이 '때가 되었다'고 말하면 나는 떠나야 한다. 더 머물고 싶어도 그럴 수가 없다. 또다시 낯선 인물들로 가득한 세계를 찾아 방랑을 시작해야 하는 것이다. 이렇게 이해하자 마음이 참 편해졌다. 


- 나도 소설 쓰기란 세계를 창조하는 것이라 생각했는데, 다시 생각해볼 일이다. 감히 내가 세계를 창조한다니, 그냥 어디 모래나 흙좀 주워다 놓으면 세계가 나와 별개로 만들어지는 걸수도. 


64

그들로부터 들은 뼈아픈 말들은 사라지지 않고 집 구석구석에 묻어 있다. 집은 안식의 공간이(어야 하)지만 상처의 쇼윈도이기도 하다. 

(중략)

<문학은 어떻게 내 삶을 구했는가>에서 데이비드 실즈는 이렇게 말한다. 

고통은 수시로 사람들이 사는 장소와 연관되고, 그래서 그들은 여행의 필요성을 느끼는데, 그것은 행복을 찾기 위해서가 아니라 자신들의 슬픔을 몽땅 흡수한 것처럼 보이는 물건들로부터 달아나기 위해서다/


98

사람은 말이 아니라 행동으로 규정되는 존재이니...

-맞는 말이다. 요즘 들어 꺠우친 것이다. 만약 나는 000사람이다 라고 말하려 한다면, 네가 정말 그것을 해왔는지ㅏ 보면 된다. 현재로서 나는 책을 좋아하는 사람이다, 책읽기를 즐겨한다고 말할 수 있다. 그것을 하고 있기 때문이다. 



109 

여행하는 동안 우리는 일종의 위기 상황에 처하게 된다. 낯선 곳에서 잘 모르는 사람들 사이에서 먹을 것과 잘 곳을 확보하고 안전을 도모해야 한다. 오직 현재만이 중요하고 의미를 가지게 된다. 스토아학파의 철학자들이 거듭하여 말한 것처럼 미래에 대한 근심과 과거에 대한 후회를 줄이고 현재에 집중할 때, 인간은 흔들림없는 평온의 상태에 접근한다. 여행은 우리를 오직 현재에만 머물게 하고, 일상의 근심과 후회, 미련으로부터 해방시킨다. 

(중략)

이 순간을 즐기자. 이 순간은 유일하며 다시 오지 않는다. 그러자 마음이 조금, 아니 꼬ㅒ 많이 편해졌다. 


-배낭여행, 뭔가 내가 오늘 점심 식사를 결정하고, 잘곳을 구해야 하는, 여행일 떄 더욱 그러하다. 그래서 혹시 내가 여행을 좋아하는 걸까. 현재에 머무르게 되어? 그래서 미래에 대한 근심과 과거에 대한 후회를 줄이고 현재에 집중해, 평온의 상태가 되어?  근데 여행을 하다보면 저 만치 아주 어두운 과거, 미래가 불쑥 튀어나오기 마련이다. 


168

복잡한 정체성은 남한 출신의 여행자라는 간단한 스테레오 타입으로 대체된다. 이대 오디세우스가 느낀 유혹, 키클롭스라는 타자를 향해 '내가 누구인지 아느냐'고 묻고 싶은 충동을 억제할수 있느냐가 성숙한 여행의 관건이다. 

-찔리네,,, 몰라서 그런거였어... 여행지가서 나를 인정받으려 하는 태도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