독서에도 교육이 필요하다면
최소희.이승화 지음 / 인품 / 2020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독서교사"

독서교사는 학교 뿐만 아니라 성인을 대상으로 하는 독서모임

기타 여러 곳에서 독서활동을 지원 해주는 그런 일을 하는 사람입니다.

이 책은 독서교육과를 공부한 한소희, 이승화 작가가 쓴 글입니다.

인문학이 필요한지 책을 읽어야 하는지 그런 이유보다는

독서교육이 어떤 것인지의 대한 설명입니다.

이 책은 나에게 특별했습니다.

사람마다 책의 대한 애정과 느낌은 다르겠지만

나에게 이 책이 특별한 것은 난 독서교육 자체의 관심이 생기는 중에

이 책을 만나게 되서 나에게는 도움이 되는 책이였습니다.

 


독서교육을 시작하는 이들에게 전하는 친절한 안내서


이 책의 부제와 같이 이 책은 독서교육을 시작 하려는 사람에게

독서교육이 무엇인지 어떻게 접근해야 되는 지를 알려주는 안내서입니다.​

 

장면 하나로 관객은 그 상황과 분위기 주인공의 감정을 이해 할 수 있다.

그러나 글에서는 그것들을 독자 스스로 이해해야 합니다.

텍스트를 이해하고 그 상황을 상상하고 머리 속에 형성화하고 그림을

만들어야죠. 그러는 과정이 더 많은 에너지가 필요하기 때문에

책 읽기를 꺼려 하는 거죠.

그러나 사고능력은 무엇일까요? 인간의 상상력은 무엇일까요?

독서는 거기에 대한 답이 있기 때문입니다.

책에서 소개하는 필요한 또 다른 이유


사색이 사라지고 검색이 생겨난 시대



4차 산업혁명으로 사회는 급속하게 변화 할 것이고

AI기술은 인간을 초월하는 지식능력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이 때 인간이 인갑답게 살아가야 하는 근본적인 원인이 바로 인문학에 있습니다.

 

독서교사의 역할


독서토론을 참여하면서 독서토론가의 역할을 보게 되었습니다.

그들의 역할에 따라 토론의 성격이나 의미, 책의 깊이가 많이 달라졌습니다.

책을 재미있게 볼 수 있는 방법과 책을 읽은 후에 토론 기법

참여자들을 이끌 수 있는 방법 등 다양한 내용들이 실려 있으니

독서토론에 관심 있으신 분이라면 읽어보셔요.

독서교사 역할을 보면서 그 분들의 내공들을 엿볼 수 있었는데요.

제가 경험한 내용을 바탕으로

독서모임의 질을 결정 했던 건 "질문"이였습니다.

질문방식을 여러가지입니다.

확장적 사고를 이끌 수도 있고 수렴적 사고로 할 수도 있습니다.

대립구조를 만들 수도 있고 아니면 경쟁구조도 할 수 있습니다.

그건 사회자의 중재와 운영방식입니다.

그런 과정에서 독서가 내가 봤던 그 책으로부터

남들과 함께 보았던 정서적, 지적으로 공유체가 되죠.

독서토론이 필요하고 재미있는 이유는

내가 이 책으로 본 사고에서 다른 사람들과 공유와 토론을 통해

다른 시각으로 폭이 넓피는 사고의 기회를 줍니다.​

독서교사는 그런 장을 만드는 사람입니다.

 

 

 


독후감과 서평의 차이



독후감과 서평의 차이는 뭘까요?

수 많은 책들을 보고 글을 써 왔지만 제가 서평을 쓰는지 독후감을 쓰는지

저도 잘 몰랐거든요.

이 책은 이렇게 정리 해 주었습니다.

감상문이 개인의 주관적 감상을 중시하는 글이고

서평은 공정한 평가를 위한 객관적인 시각 유지를 중시하고

타당한 근거를 마련하기 위해 노력합니다.

1인 미디어 시대가 되었습니다.

누구나 sns, 유튜브, 블로그를 통해 자신의 목소리를 내고

사람들과 소통하는 시대가 되었지요.

여러 매체에서 자신을 표현하고 들어낼 수 있는 기회에서 많아졌습니다.

매체가 많아졌다고 해서 누구나 자신의 미디어를 만드는 것은 아닙니다.

자신만의 콘텐츠를 만들어야 합니다.

그런 힘을 길려주는데는 독서만큼 좋은 것도 없죠.


책과 콩나무 서평단에 선정이 되어 작성한 글입니다.
: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